일반환자·코로나환자 동선분리 가이드라인 필요
신속항원검사 위험 높아진 간호인력 인센티브 제공

사진출처: 본지 자료사진 및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출처: 본지 자료사진 및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오미크론 확산으로 연일 7000명 이상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코로나19(COVID-19) 신속항원검사 및 재택치료를 의원급 의료기관이 담당하는 방역체계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자리잡으면서 새로운 검사 및 치료체계 방안을 발표하고, 26일부터 적용한다.

이에 앞서 서울특별시의사회와 서울시는 재택치료 의원급 의료기관 서울형 모델을 제시하고, 지난 21일부터 구로구 의원 7곳을 시작으로 서초구, 중랑구, 노원구, 동대문구 등 5개 자치구 의원들이 재택치료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서울형 모델은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의원급 의료기관이 건강모니터링과 비대면 진료를 담당하고, 심야시간에는 7~10개 의료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환자를 관리하는 '24시간 당직모델'과 야간에는 서울시의사회가 운영하는 재택치료지원센터에서 비대면 진료와 응급대응을 담당하는 '센터 협업 모델' 2가지가 운영된다.

하지만, 의원급 의료기관들이 상호 협조를 통해 진행하기 때문에 피로누적 등으로 장기간 운영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주간 의원급·야간 및 주말 병원급 협진 통한 재택의료 모델

이런 서울시의사회의 모델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대한내과의사회가 제시한 의원급 재택치료 참여를 위한 구체적 방안이다.

내과의사회 박근태 회장은 지난 2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평일 주간과 토요일 오전은 의원급들이 재택치료를 하고, 평일 야간과 주말, 공휴일은 병원급이 담당해 의원과 병원이 상생하는 모델이 재택치료 혼란을 막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즉 재택치료 중추적 역할은 보건소가 담당하고, 경증·무증상 환자 관리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중증 환자는 병원급이 상호 협진하는 구조라는 것이다.

일일 7000명을 넘어 2만명 이상 확진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원가의 재택치료 참여 없이는 방역 및 의료대응체계가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 의료계와 방역당국의 공통된 인식이다.

이런 상황 인식에서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의료계와 보건복지부는 개원가 재택치료 참여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다.

내과의사회와 이비인후과의사회, 서울시의사회 등 개원가 단체들은 방역당국이 개원가가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및 재택치료를 할 수 있는 신속한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또 일반 환자와 코로나19 환자의 동선 분리 문제, 확진자를 접촉한 의료진의 격리와 보상 문제 등을 선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확진자 접촉 의료진 격리 및 적극적 신속항원검사 모순 해결돼야

이비인후과의사회 황찬호 회장은 "방역당국은 지금까지 확진자를 진료한 의료진에 대해 밀접접촉했다는 이유로 2주간 격리시키고 있다"며 "하지만, 26일부터는 오미크론이 우세한 전남 등 4개 지역 호흡기 전담클리닉은 신속항원검사를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이 나올 경우 의료진은 격리돼야 하는지, 아니면 예외를 인정해야 하는지 모순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부분 의원급 의료기관은 규모가 작아 구조적으로 일반 환자와 코로나19 환자의 동선을 분리할 수 없다"며 "동선분리를 할 수 없다면 그에 따른 지침이 나와야 의원급 의료기관이 참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의료진과 간호인력 보상과 수가 인상 필요

신속항원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높아져 간호인력들이 퇴직할 수 있어 간호인력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개원가에서는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료진 감염에 따른 격리 보상도 명확하게 규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비인후과의사회 신동철 공보부회장은 "작년 고양시 호흡기 전담클리닉 16곳이 신속항원검사 760건을 시행해 13건의 양성을 확인했다"며 "같은 기간 선별진료소가 진행한 PCR 검사 15만 6000건 중 양성은 11건에 불과했다"고 개원가의 신속항원검사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개원의들은 신속항원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4대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하지만 의원이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고, 폐기물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대 보호장구 구입에 대한 수가 보상과 폐기물 처비 비용에 대한 정부 지원이 뒷받침돼야 개원의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