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코로나19비상대책본부-분과별 의료단체, 18일 토론회
복지부, 오미크론 대비 동네병의원 중심 진료체계 전환 계획
임시 음압시설, 감염병 전담 브릿지 병원, 당직응급센터 등 제안

18일 열린 오미크론 대비 코로나19 장기전 의료체계 대토론회
18일 열린 오미크론 대비 코로나19 장기전 의료체계 대토론회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코로나19(COVID-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분과별 의료 전문가들이 응급의료체계 재정비, 병원 간 연동, 일차의료기관 역할 강화 등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비상대책본부는 18일 오미크론 대비 코로나19 장기전 의료체계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의료 대응전략 중 하나로 '동네 1차 병의원 중심 진료체계 전환'을 제시했다.

동네 병의원에서 1차 진료 후 상급병원으로 전원을 의뢰하고, 의료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과도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박 정책관은 "유증상 또는 경증인 경우 동네 병의원에서 진료 후 최대한 치료제를 활용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 중"이라며 "경증의 코로나 환자는 지역 내 일차 의료기관에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확진자 급증하면 일차의료기관 경증환자 대면진료"

음압시설 없는 곳에서 진료할 가능성도..."임시 음압기 설치"

대한공공의학회 김무영 학술이사도 응급의료기능 회복 및 일차의료기관의 역할 확대를 주장했다.

우선 국내 30개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코로나, 비코로나 환자 동시 진료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마련하고, 부족한 병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이사는 "미국과 영국이 훨씬 많은 확진자가 나옴에도 혼란이 없는 것은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기 때문"이라며 "확진된 후 호흡곤란, 의식저하가 발생하면 언제든 911을 불러 응급실을 갈 수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확진자가 조금만 늘어도 응급의료가 제공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일 확진자 규모에 따라 각 의료기관의 역할을 정한 모델도 제시했다. 모델에 따르면 일차의료기관은 일일 확진자가 7500명 이하일 때 재택치료에 참여하고, 1만 5000명까지 늘어날 경우 유증상자 신속항원검사, 경구치료제 처방을 한다.

확진자가 3만명까지 늘어나면 일차의료기관은 경증 확진자를 대면진료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특히 이 경우에는 병상이 모두 소진될 가능성이 있어 모든 의료기관이 병상 조정을 통해 코로나 치료에 참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이사는 "일차의료기관은 순차적으로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응급의료센터는 7500명 이하에서는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동시진료를 진행하고, 점차 모든 응급의료기관으로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감염학회 김남중 이사장(서울대병원 내과)도 일차의료기관 역할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필요한 시설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 이사장은 "환자가 급증할 경우 일차의료기관에서 볼 수밖에 없다. 그 이면에는 음압시설이 없는 곳에서 볼 수 있다는 점도 있다"며 "아주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할 것이 아니라, 어떤 위험까지 감수해야 하는지 상의하지 않으면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대한응급의학회 김원영 정책이사, 대한요양병원협회 윤희상 국제이사, 중소병원협회 김병근 정책이사

이어진 자유토론에서 대한응급의학회 김원영 정책이사(서울아산병원 응급센터장)는 오미크론의 유행 및 재택치료에 의해 응급실 이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정부가 응급 이송체계 효율화를 위해 응급환자 온콜(긴급대기전화) 24시간 대응, 1일 2회 유선 모니터링 등을 추진하겠다고 한 것에 이의를 제기하며 '지역내 응급의료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는 "현장에서는 전화를 안받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응급실 자리가 없는 것이 문제"라며 "지역 내 응급실에 요일별 당직제를 준다면 그에 맞춰 음압병상을 비우거나 준비할 수 있다. 지역 내 응급의료네트워크를 고민해줬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급차가 코로나 확진환자를 주로 이송해 다른 위중증 환자를 빠르게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재택치료 환자의 응급실 내원 기준을 마련하고, 중증과 비중증 순환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업무에 따른 시간 지연으로 요양병원 집단감염 이어져"

병원 간 연동이 부족하고 행정 업무에 의한 시간 소모로 적시 치료가 지연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대한요양병원협회 윤희상 국제이사(미소들노인전문병원 상임이사)는 "전담요양병원이 작년 8월에는 4곳뿐이었지만 현재 25곳으로 늘었다. 병원대 병원으로 의뢰가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하는데 행정업무로 시간이 지체되는 동안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고위험 환자는 빠르게 이송하고, 행정업무는 필요하다면 차후에 해야한다"며 "저희 병원은 재택치료, 외래를 모두 하고 있지만 담당 공무원이 달라 연동까지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시스템을 일원화해 빠른 행정업무가 가능하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중소병원협회 김병근 정책이사(박애병원장)는 향후 감염병에 대비해 감염병 전담 브릿지 병원을 지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이사는 "기존 거점전담병원 중 신청을 받거나 실적을 검증해 권역별로 지정하거나 수도권에 2~3개를 지정하는 방식"이라며 "감염병 대응 공공의료기관과 대응체계가 정비될때까지 공공 기능을 부여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