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 공공의료기관 대상 의료인력 채용 수요 조사 실시
56개 의료기관 참여…의협도 의지 드러내
공공의료계 “공공임상교수제와 달리 모집 수월할 것”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최근 정부가 논의 중인 시니어 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을 두고 공공의료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필수의료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보건복지부는 대한의사협회와 7월부터 지역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료인력 채용 수요 조사에 착수했다. 해당 조사를 기점으로 필수의료 및 공공병원에 퇴직(시니어) 의사를 채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의협의 의지도 남다르다. 의협은 지난 13일 협회 회원 2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 선택은?’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응답자의 63.1%가 의료 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의 재취업 선호도는 77%로, 민간의료기관 취업 선호도인 67.9%보다 10% 정도 높았다.

시니어 의사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기적으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이어서다. 공공의대 신설 등을 통한 의사 공급은 최소 1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당장 인력난에 허덕이는 공공의료계로서는 마다할 이유가 없다.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가칭)에는 총 56개 의료기관이 참여한다.

 

반색하는 공공의료계…“숨통 트일 것”

병원계 관계자에 따르면 퇴직한 교수들이 공공기관을 선호하는 이유는 재취업 과정에서 페이를 논의하는 일의 껄끄러움 등 현실적 이유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교수들이 퇴직 후 후배가 하는 병원에 얼굴마담으로 ‘알음알음’ 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 조승연 회장은 “교수들이 퇴직 후 할 수 있는 일을 매칭시켜주는 플랫폼이 필요한데, 국립중앙의료원(NMC)과 의협에서 한다고 하니 굉장히 좋을 따름”이라며 “지방의료원이 인력난 때문에 문 닫게 생길 지경 아니냐. 여러 측면에서 좋은 사업”이라고 말했다.

다만 공공임상교수제처럼 모집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조 회장은 “시니어 의사는 아무래도 대학에서 중요한 일을 다 마친 뒤 의술을 봉사하고 싶다는 분들을 모집하는 것이라 공공임상교수제와 결이 다를 수밖에 없다”며 “현재 의사 수로 따지면 젊은 의사보다 나이 든 의사들이 많다. 이중 일부라도 진료해주면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외에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니어 의사들을 장기적으로 묶어둘 수 있는 방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전국에 분포된 공공의료기관이 표준화된 과정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조 회장은 “공공임상교수제가 잘 돼도 시니어 의사 매칭은 필요한 사업”이라며 “국가에서 여러 가지를 장기적으로 봐야한다”고 말했다.

 

의협, 컨트롤 타워 설립·공공임상교수제와 연계 주장

대한의사협회는 13일 의협 대강당에서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선택은? 설문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매칭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DB)
대한의사협회는 13일 의협 대강당에서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선택은? 설문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매칭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DB)

시니어 의사 매칭 사업은 해외에서도 다수 실시하고 있다.

미국은 국가적 재난 사태에서 시니어 의사 활용 가이드를 적극 제시하고 있다. 또 일부 주에서는 은퇴 전문의가 사회적 기여 방안으로 노인을 돌볼 수 있도록 보건의료인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일본도 육아 및 출산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여자 의사들을 대상으로 구인구직제도를 실시한다.

의협도 시니어 의사의 재교육 활용 방안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다. 교육 비용은 정부 가 부담해야 하고, 교육 완수 시 원로 의사를 대상으로 △연수 평점 부여 △국민연금 및 사학연금 보전 혜택을 부여하고, 의료기관에게는 △세제 혜택 △병원 인증 평가 가산점을 부여하자는 것이다.

이외에도 의협-NMC-보건복지부 간 컨트롤 타워 설립과 공공임상교수제와의 연계 등을 주장하고 있다. 관련 시스템을 1년 내 구축하면 당장 지역 필수의료 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처럼 의협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가운데, 복지부가 얼마나 장기적으로 서포트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