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시일 내에 수련교육 정상화 이뤄지도록 협력
수련환경 개선 및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 위해 긴밀한 논의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대한의학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1일 간담회를 열고, 의료계가 직면한 수련 단절과 신규 전문의 급감, 지도전문의 사직 등 현장 혼란과 의료 위기 상황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양측은 수련교육의 연속성을 회복하고, 의료 공백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아울러 향후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여, 양질의 전문의 육성을 위한 교육 체계 개편을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대전협이 7월 19일 제시한 3대 요구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양 단체는 대전협의 해당 요구안이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필요하고 합리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며, 수련의 내실화를 통해 국민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취지라는 것에 공감하며, 국민 건강을 위해 적극 다뤄야 할 의제라는 점에도 동의했다.
의학회는 전공의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수련교육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공의 수련교육원' 설립의 취지를 설명하며, 전공의 수련교육의 표준화와 내실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책 마련에 각별히 노력할 것임을 밝혔다. 전공의 수련교육원은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우리나라 전공의 수련교육제도의 발전과 질적 향상을 위해 마련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양측은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합리적인 제도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으며, 향후 정부 및 유관 단체와의 실무 협의체를 통해 실행 가능한 방안을 적극 모색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의학회에서 이진우 회장을 비롯해 박중신 부회장, 오승준 부회장, 박용범 수련교육이사, 김범석 고시이사, 도경현 홍보이사가 참석했으며, 대전협 비대위에서는 한성존 위원장, 김동건·김은식·박지희·유청준 위원, 정정일 대변인이 참석했다.
- 政. 전공의 3대 요구안 일단 긍정···환자단체 반대 걸림돌
- 전공의 9월 복귀 위한 필수의료 정책 재검토 등 3대 요구안 제시
- '정상화'라는 말에 담긴 진짜 의미
- 전공의-수련병원-의협, 의료사태 해결 원팀 확인
- 전공의들 "국회와 함께 중증·핵심의료 재건 위해 노력"
- 글로벌 스탠다드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 국내 안착 기여할 것
- [창간 24주년 특집] 바뀐 환경 속 전공의 수련, 나아 갈 방향은?②
- [창간 24주년 특집] 바뀐 환경 속 전공의 수련, 나아갈 방향은?
- 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 "정부, 교육 정상화 대책 마련해 달라"
- [창간 24주년 특집] 위기의 전공의 수련, 왜 그들은 돌아오지 않는가? (下)
- [창간 24주년 특집] 위기의 전공의 수련, 왜 그들은 돌아오지 않는가? (上)
- "전공의 돌아올 것" 감액됐던 전공의 예산 다시 증액
- 전공의 수련두고 政, "국민 눈높이" VS 醫 "실질적인 해결 방안"
- 서울시醫 "본과 4학년 2월 졸업 원칙으로 해야"
- 환자단체 찾은 전공의들···"국민 불안과 불편 사과"
- 전공의 "수련 규칙 표준안 외 법적·제도적 보완 필요, 정부 지원도"
- "전공의 제한적 수용은 상급종병 존재 이유 포기하는 것"
- 이수진 의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법 발의
- 전공의 진료 공백·수련 부실···입원전담의 제도가 해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