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7일 지부별 쟁의행위 찬반 투표 진행, 노동위서 합의 못하면 총파업
'9.2 노정합의' 이행체제 복원·직종별 인력기준 제도화 등 요구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전국 127개 의료기관에 대해 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했으며, 정부와 사용자의 결단이 없으면 오는 24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8일 노조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발표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와 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 접수를 완료했으며, 조정 신청에 참여한 조합원은 총 6만 4321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 진행된 2023년 산별 총파업에 버금가는 규모다.
보건의료산업 산별교섭은 지난 5월 7일부터 진행되고 있으나, 적정인력 기준 제도화 및 의료사태 중 업무과중 보상 논의 교착, 지방의료원 임금체불, 공공병원 지원 예산 불발 등으로 인해 협의가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희선 위원장은 "조합원 4만 5000명이 참여한 최근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료노동자는 여전히 불규칙한 근무에 시달리고 있으며, 임신 및 육아휴직 사용도 자유롭지 못하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9.2 노정합의' 이행을 위한 협의체 재가동이 대화의 출발점이 돼야 할 것"이라며 "정부가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가 제시하는 핵심 7가지 요구는 △9.2 노정합의 이행협의체 복원 △직종별 인력기준 제도화 및 보건의료인력원 설립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의대 정원 확대 및 지역의사제도 도입과 공공의대 설립 △주 4일제 도입과 노동기본권 보장 △공공병원 의료인력과 착한 적자 국가책임제 △산별교섭 제도화 및 보건복지부 주요 위원회에 보건의료노조 참여 확대 등이다.
보건의료노조는 9~17일 지부별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하고, 이후 노동위 조정에서 노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24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 국민 10명 중 9명은 "보건의료인력 확충 필요"
- "출산은 사치, 정년은 고통" 보건의료 노동자들 이중고
- 지방의료원 연쇄 임금체불···"정부·지자체, 손 놓고 있어선 안 돼"
- "9.2 노정합의 이행협의체 복원 외면한 새 정부, 실망"
- 병원 내 폭력, 여전히 심각···보건의료노동자 과반은 '참고 넘겨'
- 보건의료노조 63.4% 이직 고민, 의정갈등 후 업무 과부하
- 의정갈등 장기화 후폭풍···의료지원인력에 쏠리는 부담 심화
- 보건의료노조, '9.2 노정합의' 복원 촉구 대시민선전전 개최
- "국립대병원 경영위기 책임, 노동자에게 떠넘기면 총파업 불사"
- 보건의료노조, 이재명 정부에 9.2 합의 이행 촉구
- 국립중앙의료원, 6월부터 주 4일제 시범사업 시행
-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앞두고 복지부 차관 및 국회 복지위와 만남
- "경기도, 새 공공병원 추진 전 의료원 체불임금 해결부터"
- 공공병원 의료수익 10%대···경영난 개선할 보상체계 강화해야
- "지방의료원 적자 개선 위해 '총액 예산제' 도입 필요"
- 중증환자도 일반병실···전체 병상의 30%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