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7개 국립대병원지부, 전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
의정갈등 이후 국립대병원경영 상황 악화, 노동자들만 고통 전담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보건의료노조 소속 7개 국립대병원지부가 10일 오전 전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대병원장들이 경영 위기를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이 같은 행태가 이어질 경우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반대를 이유로 시작된 전공의 집단 사직, 의대생 집단 휴업 등으로 발생한 의료 공백은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지난 정부의 잘못된 의료개혁 추진으로 국립대병원의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국립대병원장들이 병원 경영난을 이유로 강제 휴가, 인력 충원 중단 등 노동자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긴축 경영을 펼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 오미령 민주노총 광주본부 수석부본부장, 보건의료노조 소속 경상국립대학병원지부, 부산대병원지부, 부산대치과병원지부, 서울대치과병원지부, 전남대병원지부, 전북대병원지부, 충남대병원지부 등 7개 국립대병원지부와 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 노조 간부 등 30여 명이 참여했다.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인해 환자가 급감하며 국립대병원의 경영위기가 찾아왔고, 그 적자를 메우기 위해 노동자들도 많은 희생을 치렀음에도 병원 측은 우리에게 또다시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새 정부는 노동자에게 희생이 강요되지 않도록 하고, 국립대병원이 지역거점병원으로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전남대병원은 지난 5월부터 노동조합이 수차례 교섭을 요청했지만, 갖가지 핑계를 대며 교섭을 회피하고 있다"며 "만약 성실한 교섭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7월 말 총파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적자 운영의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권종 광주전남지역본부장은 "전남대병원의 경영적자는 빛고을병원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빛고을병원을 지어놓고도 책임지지 않는 것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확실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의정 갈등 장기화 여파로 전국 국립대병원의 적자는 1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나 10개 병원의 적자가 5600억 원에 이르렀으며, 2024년 전남대병원 670억, 부산대병원 660억, 충남대병원 330억, 경상국립대병원 300억, 전북대병원 500억 등 한 해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며 "내란세력 심판과 새로운 사회대개혁의 민심을 등에 업고 출범한 정부는 올바른 의료개혁의 첫걸음으로 공공의료와 지역의료를 강화하고, 공공병원의 지나친 인력 규제를 완화하며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병원장들은 경영 위기를 노동자들에게 전가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며 "단체협약 위반과 연차촉진제 도입 등 노사 갈등의 원인이 되는 강요와 희생이 계속된다면 보건의료노조 국립대병원지부는 산별총파업으로 반드시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 보건의료노조, 이재명 정부에 9.2 합의 이행 촉구
- 국립중앙의료원, 6월부터 주 4일제 시범사업 시행
- 보건의료노조, 대선 공약에 '보건의료인력 확충' 요구
- 국립대병원 어려운 상황 지원위해 소관부처 이관 시급
- 政, 국립대병원에 800억 들여 최종치료 역량 강화
- 국립대병원 관리 복지부 변경 ... 국립대병원 설치법 개정안 발의
- "출산은 사치, 정년은 고통" 보건의료 노동자들 이중고
- 보건의료노조, 127개 의료기관 대상 노동쟁의조정 신청
-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앞두고 복지부 차관 및 국회 복지위와 만남
- "경기도, 새 공공병원 추진 전 의료원 체불임금 해결부터"
- "정부, 공공의료 붕괴 대책 내놔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