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의사회장협의회 정기회의서 '2월 중 의대정원 정부 협상' 건의됐으나 부결
조기대선 등 고려해 집행부와 단일대오 유지 결론, 집행부 보폭에 영향?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시도의사회장 중 일부가 의대정원 문제를 두고 대한의사협회에서 대안을 제시, 정부와 2월 내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논의 끝에 집행부를 믿고 기다리는 것으로 결론이 났으나, 시도의사회장들 사이에서 이 같은 의견이 표출된 만큼 향후 의협의 보폭이 빨라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8일 열린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월례 정기회의에서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을 비롯한 일부 시도의사회장들이 2026년도 의대정원에 대해 2월 중 정부와 협상할 것을 건의했다. 

황 회장은 앞서 지난 6일 의협 출입기자단과 인터뷰에서 "사직 전공의와 휴학 의대생들이 언제 해결될지 모르는 의료사태에 괴로워하고 있으며, 산적한 의료정책 현안들도 의대정원 문제에 매몰돼 방임되고 있다"며 "의협이 책임감을 갖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정부와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황 회장은 "침묵하고 있는 다수의 사직 전공의들과 휴학 의대생에게 목소리 낼 기회를 줘야 한다"며 "대한전공의협의회 집행부가 아니라 전체 전공의와 의대생을 대상으로 의견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회의에서 황 회장은 의대정원을 500명씩 3년간 감축하는 등 구체적인 조정안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적지 않은 시도의사회장들도 동조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건의안 채택은 끝내 부결됐다. 의협 김택우 회장이 의대정원 문제 해결에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며 시도의사회장들의 신뢰를 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황 회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건의안을 준비해 갔으나 김택우 회장이 정부와 협상에 대해 내부적으로 대응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며 "시도의사회들의 우려점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최선을 다하겠다는 설명이 있어 시도의사회들이 집행부를 믿고 기다리기로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A시도의사회장도 "해당 의견에 동의하는 시도의사회장들도 몇 명 있었다"면서도 "집행부가 꾸려진 지 한 달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지금은 단일대오를 형성하며 집행부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맞다는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탄핵정국으로 인한 불안정한 시국이라는 점도 고려됐다. A시도의사회장은 "윤 대통령의 탄핵이 가결되면 조기대선이 치러질 수도 있는 상황에서 의료계의 목소리가 갈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이럴 때일수록 의료계 내부 단일대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도의사회장단협의회 차원에서 건의안 채택은 무산됐으나, 시도의사회장들이 빠른 사태 해결을 주문한 만큼 의협의 발걸음이 빨라질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B시도의사회장은 "전공의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고, 이들을 위해서라도 사태가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는 게 다수 의사회장들의 의견"이라며 "우리의 우려와 메시지가 충분히 집행부에 전달됐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한편, 의협은 2026년 의대정원 협상에 앞서 정부가 먼저 올해 의대교육 마스터플랜을 내놔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교육부는 2월 중으로 의대 교육 전반에 대한 대책을 내놓고 의대생 복귀를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휴학 의대생 95%가 복학하지 않고 있어 의대교육 파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