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의료 정상화는 불가능, 최악의 상황만 막아야 돼
전공의들, 개인의 행복만 생각하고 희생할 생각 없다
수련 당시 생각하면 어떻게 했나 신기할 정도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지난 해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의 일방적 추진으로 인해 의정갈등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국내 상황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혼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메디칼업저버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 시작과 함께 지난 한 해 의대정원 증원 사태로 인한 의료인들의 번아웃과 우울감, 허탈감, 좌절감 등 목소리를 가감없이 익명으로 지상중계(紙上中繼)한다.
2025년은 의대증원 사태 해결 가능할까?
뭔 소리여
현 정부의 태도 변화없이는 전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뭣이 중한디'라는 유행어가 생각난다. 진짜 중요한 의대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2025년 의대정원부터 최소화해야 한다. 현 시점에서는 교육의 질 저하와 MZ세대의 변화를 가속화시켜 더 이상 의정사태 이전의 의료로 회복은 어렵다고 본다.
돌아갈래
2025년은 의정사태가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지난해보다 더 심각해질 것 같다. 정부는 절대 바뀌지 않을 것 같다. 이 정권이 바뀌지 않는 한 답이 없다.
한국 뜰까?
정상화라는 모습이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 아무일 없었다는 듯 학교와 병원이 돌아갈 수 있을까? 2025년도 신입생 수를 원점으로 되돌릴 수 있겠나? 불가능할 것으로 본다. 올해도 정상화는 불가능할 것이다. 다만,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현실을 인정하느냐, 아니냐만 남은 것 같다.
2025년 헐
타 대학 출신도 많은 빅5병원은 모르겠지만 우리 병원은 정상화가 힘들다. 남자 전공의들은 올해 군 입대하는 경우가 많다. 군 제대 후 다시 복귀한다는 보장이 없다. 솔직히 학생 중 누가 돌아올지 예측할 수 없다.
전공의가 무슨 죄?
수련은 도제식이다. 사람을 치료하는 행위는 두려움이 따른다. 그 두려움을 걷어주고 안전한 환경에서 의술을 익히게 도와준다. 신입생들은 10년 위 선배들이 수업 듣지 않고 실제도 제대로 교육받을 수 없는 환경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지방의대 신입생들은 1년 휴학하고 다시 수능을 준비해 서울로 올라올 것이다. 지방의대 수준은 떨어지게 될 것이다. 상당수 친구들이 USMLE 준비하고 있다. 상급연차 선생님들 일부는 빠르게 로컬에 나가 자리를 선점인 것으로 안다. 군문제가 걸린 친구들은 현역으로 입대해 3년 군복무를 단축할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의무사관후보생들은 입대 대기를 해야 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원칙에 맞지 않는다고 다들 불만이다. 사태가 해결되더라도 예전처럼 복구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다. 정부가 정말 올바른 의료환경을 위해 의료계와 공통된 비전으로 의료정책을 바꿔 간다면 기피과 필수의료 지원자들이 늘어나는 현상으로 먼저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기대하지 않는다.
의대증원 사태 해결 실마리는?
쇠귀에 경읽기
여의정협의체가 결국 좌초됐다. 정부나 여권이 전공의와 학생들의 논점을 이해하지 못하는데 무슨 해결 실마리를 찾겠나? 현재 의협 비대위가 전공의 및 의대생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어 잘하고 있는 것 같다. 의사들이 직역에 관계없이 하나로 뭉치고 미래 세대인 전공의와 학생들에게 귀를 기울여야 가능하다.
나도 교수
의료계의 모든 의견을 수렴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비현실적이다. 의대증원 사태의 중심에 있는 3차 대학병원 교수들과 전공의들의 논의가 주요하다. 미안하지만 개업의, 봉직의들은 이번 상황에 논의 대상이 아니다.
그래봐야
2025년 모집 인원을 어느 정도라도 재조정하려는 정부 의지가 있어야 한다. 2026년 정원은 과학적 근거에 맞춘 증원 인원으로 확정해야 한다. 또 정부는 과학적이지 못한 증원을 추진해 의료대란을 만든 것에 대해 전공의와 학생들에게 진심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 그리고 관련된 책임자들에 대한 징계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희망이 없다
합리적인 해결 방안은 없다. 어느 한 쪽이 포기하지 않는 한. 희망을 버린지 오래됐다. 정부가 이번 탄핵 국면 동안 변화된 자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올해도 평행선만 계속 걷게 될 것이다.
그냥 걸었어
문제를 야기한 공직자가 파면되지도 책임과 추궁도 받지도 않는 비상식적인 상황이 지속되면 대화는 불가능하다. 잘못된 정책의 파장으로 치료 받지 못해 사람들이 죽게되는 것에 대한 합당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그것이 정의로운 사회라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