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혁신을 위한 토론회' 개최
전문가 "골밀도 따른 투여기간 제한없이 지속치료 필요"
골형성제제 적극 활용한 초기 치료 필요성도 제안

대한골대사학회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이 7일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혁신을 위한 토론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대한골대사학회와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이 7일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혁신을 위한 토론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골다공증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급여기준을 개선하고, 재골절 위험이 큰 초고위험군의 예방치료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골대사학회는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 주관으로 7일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혁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발표에 나선 연세대 이유미 교수(내분비내과)는 고관절과 척추 등 골다공증 골절 이후 요양·와병 생활을 하다가 생을 마감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효과적인 골다공증 지속 치료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 교수는 "대한골대사학회와 미국임상내분비학회 등 진료지침에서는 한번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치료 중 T-score가 -2.5를 초과하더라도 골다공증 진단은 그대로 유지되며, 이에 따른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권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행 급여기준 상 골다공증 약제의 투여기간을 골밀도 T값을 기준으로 제한해 지속치료가 어려운 나라는 한국이 유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골밀도 상승효과 및 안전성이 확인된 골흡수억제제의 경우, 골밀도에 따른 투여기간 제한없이 골다공증 지속치료가 가능하도록 급여기준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제안이다.

 

"추가 골절 발생해야만 2차 치료에서 골형성제제 사용 가능"

골절 초고위험군 환자의 재골절 예방을 위해 더 강력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골다공증 환자들 중에서도 이미 골절을 경험한 초고위험군 환자의 재골절은 4명 중 1명꼴로 발생하며, 재골절 환자 10명 중 7명 이상이 치명률이 가장 높은 척추 골절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재골절 발생은 첫 1년간 평균 의료비용을 2배, 환자 1인당 1개월에 6배씩 증가시켜 사회경제적 질병비용도 크다.

분당서울대병원 이영균 교수(정형외과)는 "골절 초고위험군은 재골절 위험이 높은 만큼 국제 진료지침은 골형성제제 투여를 통해 빠르게 골밀도를 높인 후 골흡수억제제를 사용해 골밀도를 유지·강화하는 순차치료 전략을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현행 보험급여 기준은 골흡수억제제를 1년 이상 쓰다가 추가 골절이 발생해야만 2차 치료에서 골형성제제를 사용할 수 있어 모순"이라며 "골형성제제로 강력한 초기 치료를 통해 추가 골절을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요양보호사중앙회 김민화 이사도 "고관절 골절 환자 대다수가 와상 환자로 심리적 위축과 자기 방임 때문에 재활 포기에 이르는 경우가 빈번하다"며 골절 환자들을 위해 적절한 의약품 처방과 복약지도, 환자 및 가족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보험 재정의 건전성과 신약 접근성 향상을 함께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골다공증과 골절로 인한 고령 환자들의 고통과 사회경제적 부담에 공감하며, 최신 진료지침에 급여기준이 부합할 수 있도록 신약 접근성 향상에 노력하되 지속가능한 재정 건전성과 함께 신중히 검토하겠다"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