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대한골대사학회 정책토론회 개최
학회, 건강검진 활용한 골다공증 검사 효율화 및 사후관리 필요성 강조
T-Score -2.5 기준 투여기간 제한 국가 한국 유일
"최신 진료지침에 맞게 개선해야”

대한골대사학회는 26일 정책 토론회를 열고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의 국가책임제 도입을 촉구했다.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초고령사회 진입에 발맞춰, 골다공증성 골절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개선과 보험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있다.

26일 대한골대사학회는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의 국가책임제 도입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골대사학회는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과 골다공증 검사, 치료, 질환 인식개선 3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현재 골밀도 치료 개선되면 급여 불가

'정부 정책 차원 One-stop 관리 필요'

이날 토론회에서 학회는 골다공증의 적극적 치료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임 정부는 골다공증 무료 검진을 현행 2회에서 4, 연령도 54, 66, 72 여성으로 확대하는 공약을 내세웠다

골대사학회 김하영 학술이사는 국민에게 골다공증을 알리는 게 시급하다고 발표했다.
골대사학회 김하영 학술이사는 국민에게 골다공증을 알리는 게 시급하다고 발표했다.

학회 김하영 학술이사에 따르면 골다공증은 골절 전까지 증상이 없어 환자 10명 중 4명은 치료를 받지 않고 있다.  

학술이사는국가건강검진 대상 54, 66 여성  70% 골밀도 검사를 받지만 골절 예방에는 부족하다골밀도 검사 수검자를 대상으로 질환 교육자료 발송, 안내 우편·문자 전송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는 다양한 SNS 채널을 통해 골다공증 질환 알리는 중요하다 말했다

골밀도 수치(T-score)가 정확하게 반영돼 있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학술이사는현행 국가건강검진에는 골밀도 수치인 T-score 대한 정확한 수치가 반영돼 있지 않다정확한 수치가 반영된 결과를 제공해 환자가 골다공증성 골절의 경각심과 위험성을 알릴 있도록 해야한다 전했다

건강보험 급여 중지로 인해 환자의 치료가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급여조건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됐다. 

현재 우리나라 급여 조건에서 골다공증 치료제들은 건강보험이 지원되는 투약 기간이 T-score가 -2.5 이하로 제한돼 있다.

그런데 데노수맙, 로모소주맙, 비스포스포네이트 등으로 치료했을 때 T-score는 높아지지만, 이를 중단하면 1년 이내에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골대사학회 김경민 역학이사는 골다공증은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어 치료를 중단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골대사학회 김경민 역학이사는 골다공증은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어 치료를 중단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학회 김경민 역학이사는 골다공증은 당뇨병·고혈압 등과 같은 질환과 마찬가지로 치료제를 중단했을 때 더욱 악화돼 지속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사망률 감소와도 연관되는 만큼 치료를 중단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골다공증 환자의 지속적인 치료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직간접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도 했다.

김 역학이사는 “골절 발생 시 1인당 치료비는 평균 1000만원으로, 이에 따른 정부의 부담액은 연간 1조 49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환자가 T-score를 미리 관리할 수 있다면 골절 발생 건수를 줄여, 사회·경제 직간접적으로도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이유로 영국, 미국, 일본 등에서는 투여기간 제한 없이 골다공증 치료 기간을 보장하지만, 한국에서는 제한이 따르는 실정이다.

 T-score -2.0으로 낮추는 주장도 제기

김 역학이사는 “골밀도 수치는 환자 위험도와 상관없다”며 “꾸준한 추적관찰을 통해 골다공증 합병증을 예방하는 게 중요한 만큼, 현 급여 기준에서 T-score를 -2.0으로 낮추는 것도 방안”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정부 측은 학회의 제안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 박용표 부장은국민건강검진에 골밀도 수치 추가, 골밀도 검진 대상우편 안내, SNS 통한 검진 대상자 홍보 사후관리 방안 등을 추진해나가겠다 말했다

보건복지부도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기준 정비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을 인정,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했다.

복지부 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골다공증 환자 수 증가로 의약품 지출 비용이 높아져 최신 가이드라인을 따라가기 어려웠다골다공증은 현재 우선순위에서는 조금 밀려있는 상황이지만, 내분비학회와 골대사학회 학회의 개선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정책에 적극 반영할 있도록 하겠다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