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폐경학회, 골다공증 관리 성명서 발표
완치 개념 없어 지속 관리 필요..초고위험군에 골형성촉진제 사용 권고

[메디칼업저버 양민후 기자] 전문가들이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의 관리는 평생 동안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골절 초고위험군에 대해선 골형성 촉진제 사용을 고려하도록 안내했다.

북미폐경학회(NAMS)는 이 같은 내용의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 관리: 2021 성명서’를 학회지인 Menopause 9월호에 게재했다.

이번 성명서는 2010년 이후 첫 개정판이다. 10여 년간 바뀐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골감소 및 골절 위험을 최소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50세 여성의 절반 가량은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을 겪으며 골절 발생 시 삶의 질은 크게 저하된다.

고른 영양섭취, 규칙적인 운동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치료가 없으면 골다공증은 연령에 비례해 진행할 수 있다.

결국 완치라는 개념이 없는 만큼 골다공증 환자는 평생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폐경 여성 등에 대해 예방 치료가 이뤄져야 하고 골다공증 환자에 대해선 골절 위험도 등 개인 특성에 맞춘 적절한 치료제의 선택이 중요하다는 평가다.

골절 위험 줄이는 생활습관 중요

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습관은 폐경기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적정 체중 유지, 적절한 비타민D·칼슘 섭취, 규칙적인 신체활동, 과음 줄이기, 금연 등이 해당한다.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학회 전문가들은 이런 생활습관이 골감소, 골절 그리고 낙상 등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식단을 통한 비타민D·칼슘 섭취가 우선

미국의학연구소(IOM) 기준 50세 이상 여성의 칼슘 하루 권장량은 1000~1200mg, 비타민D는 400 ~800IU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매일 보충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전문가들은 칼슘·비타민D 보충제를 일상적으로 복용하지 말도록 권고했다. 식단으로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만 보충제의 도움을 받도록 안내했다.

예방을 위한 약물치료 대상은 조기폐경 여성 등

골감소를 사전에 막는 것은 뼈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약물치료가 필요한 대상은 누구일까.

전문가들은 T-score -1 미만이며 에스트로겐 결핍 등으로 골감소가 빠른 초기 폐경기 환자를 예방을 위한 약물치료 대상으로 선정했다.

T-score -1 미만으로 골절 관련 가족력이 있는 여성도 포함시켰다. 이들에 대해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고려하도록 안내했다.

조기폐경 여성은 정상적인 폐경 연령대에 도달하기까지 약물치료를 받도록 권고했다. 또 폐경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여성에 대해선 에스트로겐이 적합한 치료옵션일 것으로 평가했다.

골절 초고위험군에게 골형성 촉진제가 적절

전문가들은 환자의 BMD와 골절 위험도 등에 따라 골다공증 약제를 선택하도록 당부했다.

라록시펜은 고관절 골절·뇌졸중 등 위험이 낮지만 유방암 발병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적절한 옵션이라고 평가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에게 적합한 선택지로 진단했고 데노수맙은 골절 고위험군에게 적합한 치료제로 꼽았다.

골형성 촉진제는 최근 골절을 경험했거나 T-score가 -3.0 수준인 골절 초고위험군에게 권고했다.

이 약제는 골량을 빠르게 증가시키며 비스포스포네이트 대비 골절 예방에 더 효과적이란 설명이다.

T-score 개선돼도 골다공증 환자

무엇보다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치료 목표설정 및 약제 선택에 대한 고민을 꾸준히 할 것을 당부했다.

만약 치료 과정에서 골감소가 지속 일어난다면 복약순응도와 함께 환자의 건강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T-score가 -2.5보다 개선돼도 여전히 골다공증 환자라는 사실도 상기시켰다.    

한번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골절 예방을 위한 관리가 꾸준히 필요하며 치료방향에 대한 수정도 지속 이뤄져야 한다는 시각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