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A,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 필요성 연구
골다공증 약제 치료 시 골절 위험 감소 및 골밀도 증가 효과 있어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골다공증 환자가 아니라도 골감소증이 확인될 경우 고위험군을 선별해 치료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이하 NECA) 골감소증 환자에서 약제 효과를 분석하고, 골절 위험 예측모형을 개발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 노령화가 급격히 진행돼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골감소증은 현재 노인인구의 절반가량으로 추정되며, 고관절 골절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사회·경제적 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NECA는 골밀도 수준에 따른 골절 발생을 파악하고,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위험요인을 분석해 선제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의 필요성 연구를 수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만 66세 여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이후 골감소증 환자는 계속 증가해으며, 2019년 골감소증 환자는 66세 여성 절반을 차지했다.

골밀도 수준에 따라 골절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골밀도 정상군에 비해 골감소증, 골다공증 환자군의 골절 발생률이 높았다.

연도별 골밀도 수준에 따른 골감소증 환자 추이.
연도별 골밀도 수준에 따른 골감소증 환자 추이.

2008년과 2009년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수검자 중 골감소증인 만 66세 여성 환자에서 골절 위험인자를 확인하고, 예측모형을 구축한 결과, 낙상, 당뇨병, 뇌혈관질환, 천식, 과거 골절력이 유의한 골절 위험인자로 포함됐다.

골다공증 골절 발생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검토한 메타분석 결과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다공증 약제 치료군이 약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골절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골밀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골밀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낮지 않더라도 골절 고위험군인 환자들을 선별해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한골대사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응답자 모두 골감소증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약제투여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실제 처방을 더 적극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보험급여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연구책임자인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김정희 부교수는 "골밀도 정상군에 비해 골감소증 환자의 골절 위험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했다"며 "정책적으로 골절위험이 높은 골감소증 환자에게 적극적인 치료가 고려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골절예측모형은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위험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공동 연구책임자인 NECA 윤지은 부연구위원은 "향후 골감소증 환자에게 골다공증 약제 투역 여부를 결정하는 임상진료지침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환자의 골밀도를 젊은 성인의 평균값과 비교한 것을 T-값으로 정의하고 있다. 
T-값이 -1.0 이상이 정상이며, -2.5에서 -1 사이일 때 골감소증으로 진단한다.

또,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의 위험이 높은 상태로 T-값이 -2.5 이하인 경우 진단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