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29일 국제학술대회서 '투석전문의 수급 부족' 관련 토의 진행
투석전문의 정보 제공·양성로드맵 마련 필요
의료취약지 지원 위한 국가 정책 확대 제안

▲인공신장실 전경. 대한신장학회 제공.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대한신장학회(이사장 양철우)가 보건복지부에서 마련 중인 '인공신장실 설치 및 운영기준 권고안'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투석전문의 수급 부족' 문제를 두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학회는 지난달 26~29일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된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KSN 2022)에서 투석전문의 수급 부족에 대한 토의를 진행했다. 

학회 황원민 일반이사(건양대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투석전문의의 현재와 미래' 발제를 통해 투석전문의 수급 부족 문제 해결책을 제안했다.

황 이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혈액투석실의 국가적 관리체계가 법제화되지 않아 혈액투석실에 근무하는 의료진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조차 홈페이지 내 '병원찾기'에 혈액투석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전문의료진에 대한 정보는 없다. 

황 이사는 "인공신장실에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들이 근무하는지 국민이 쉽게 알 수 있어야 한다"며 "이는 투석환자들이 양질의 투석치료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국내 유일의 국가 질 관리제도인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는 외래에 국한된 절반의 결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투석하고 있는 요양병원, 정신병원, 한방병원에 대한 투석 질 평가와 투석전문인력 정보 제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투석전문의는 과거 매년 30~40명 배출됐으나 현재 매년 100여 명 수준으로 3배 이상 증가했고, 이는 신규 내과전문의 수가 연 500명대로 정체 또는 감소되는 것에 비하면 비약적 증가라는 게 황 이사 설명이다. 

또 매년 폭증하고 있는 혈액투석환자 증가 속도에 비례해 투석전문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어, 투석전문의 수급 미래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며 국가적 추가 정책을 제안했다. 

황 이사가 제시한 해결책은 세 가지다. 먼저 복지부에서 시행하는 '의료 취약지 인공신장실지원사업' 규모를 확대해 의료인력 구인난을 해결하는 것이다. 

두 번째, 올해 7월부터 시행되는 '공공임상교수제도'를 적극 활용해 의료 취약지 공공병원에 투석전문의를 배치하는 방안이다 . 

세 번째, 투석전문의가 없는 지역 병의원과 지역 대학병원 간 네트워크를 형성해 촉탁의 제도, 월 1회 방문을 통한 협진 및 의료자문 등 투석환자 협진제도로 양질의 투석진료를 폭넓게 제공하는 것이다. 

학회 이영기 투석이사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투석전문의 인력수급 문제는 적정 투석전문의 수 예측 및 양성 로드맵을 마련하고 인력수급 부족에 대한 국가적 정책 지원이 이뤄진다면 점차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학회 양철우 이사장(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은 "국민에게 세계적 수준의 양질의 투석진료를 제공하는 큰 목표 아래 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요양병원협회 및 대한신장학회를 아우르는 '인공신장실 질 관리 협의체'를 구성해 현실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