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의연, 노인 투석치료 결정 시 참고할 수 있는 결과 제시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 계획된 투석치료보다 사망위험 3.98배 높아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에 대한 투석치료와 보존적 치료 비교시 투석치료가 생존율 및 증상 호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석치료 여부와 투석치료법 간의 임상적 효과, 사전 계획 여부에 따른 예후요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70대 이상 인구의 10명 중 1명 이상은 중증도 이상의 만성콩팥병 환자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노인 만성콩팥병 또는 말기신부전 환자에 대한 국내 진료지침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보의연은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석치료와 보존적 치료, 복막투석과 혈액투석 간의 임상효과 비교와 투석치료의 사전 계획 여부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등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투석 예후요인 및 임상효과 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전체생존율(좌) 및 중위생존기간(우).
전체생존율(좌) 및 중위생존기간(우).

투석치료와 보존적 치료의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 확인을 위해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21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투석치료가 보존적 치료에 비해 전체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망위험은 유의하게 낮았다.

전체생존율의 경우 투석치료군의 1년 시점 생존율은 85%, 2년 시점은 73%, 3년 시점 58%였으며, 보존적 치료군의 1년 시점 생존율은 69%, 2년 시점 43%, 3년 시점은 25%였다.

즉 모든 시점에서 보존적 치료군의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고, 생존기간도 투석치료군 38개월, 보존적 치료군 20개월로 보존적 치료군이 낮았다.

또 전반적으로 보존적 치료군 대비 투석치료군의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신적 영역 및 증상·문제 영역에서 투석치료가 보존적 치료보다 더 나을 수 있다는 근거가 확인됐다.

연구는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를 받은 만성콩팥병 노인 환자의 생존 예후요인과 계획된 투석치료에 비해 사망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만성콩팥병 노인 환자에서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와 계획된 투석치료의 보정된 사망위험을 분석한 결과, 1년 이내 두 군간 사망위험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초고령 대상 문헌 결과에서는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의 사망위험이 계획된 투석에 비해 3.98배 높았다.

1년 이상의 경우에는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의 사망위험이 계획된 투석치료에 비해 1.98배 유의하게 높았다.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를 받은 경우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저칼륨혈증, 투석 이후 동맥정루 수술 여부로 확인됐다.

연령이 높아지고 고연령일수록 사망위험이 높았으며, 저칼륨혈증에서 혈중 칼륨수치가 증가할수록, 동정맥루를 만들어 투석을 지속한 경우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계획되지 않은 복막투석에 비해 계획되지 않은 혈액투석이 사망위험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이 만성콩팥병 노인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혈액투석이 복막투석보다 더 좋은 생존율을 나타내는 관련성을 보였지만, 근거수준이 낮고 두 치료법 간 효과 차이를 입증하는 근거가 불명확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웠다.

연구책임자 신성준 교수(동국대 의대)와 양재원 교수(연세대 원주의대)는 "이번 연구를 통해 노인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투석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생존율을 유의하게 좋게하고, 삶의 질에서도 차이가 없어 보존적 치료보다 투석치료가 더 나을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첫 연구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다만, 초고령 환자나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말기 또는 임종기 환자에서는 투석치료를 결정함에 있어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공동 연구책임자인 보의연 박동아 연구위원은 "국내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이 투석치료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연구원과 전문학회간 임상적, 방법론적으로 협력해 근거기반 임상진료지침을 조속히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