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이상 응급실 전담병원 전원 안 돼
급격한 방역정책 완화가 원인…의료계, 방역완화 중단 촉구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일일 확진자 40만명을 넘긴 가운데, 재택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동네병의원의 의료대응 능력이 한계치에 이르렀다는 우려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개원가에서는 코로나19(COVID-19) 환자의 중증화를 막기 위한 경구용 치료제인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를 처방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팍스로비드 도입 물량이 부족하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재고물량 자체가 없어 처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일부 종합병원급 이상 응급실에서는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전원이 안 되고 있으며, 중증 환자 이상만 이송이 가능해 코로나19 치료병상 역시 포화상태에 근접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방역당국의 방역완화 정책을 중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의협, 정부 방역정책 완화 중단 촉구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는 곧 방역당국의 방역정책 완화 중단을 촉구하는 권고문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수도권 A 개원의는 "재택치료를 담당하는 동네병의원들이 진료할 수 있는 환자 규모를 넘어서고 있다"며 "특히 고위험군 환자는 포화상태로 의료대응에 한계가 왔다"고 지적했다.

A 개원의는 "50대 이상이며,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 환자들에게 중증화를 막기 위해 처방해야 하는 팍스로비드는 처방 자체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물량이 있다고 하지만, 지정 약국에서도 재고 물량이 없어 구입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방역당국의 안일한 대응에 대해 비판했다.

서울 상급종합병원 응급의학과 B 교수는 "응급실에 있는 코로나19 환자를 전담병원에 전원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관할 보건소에서 중증환자가 아닌 이상 전담병원으로 이송할 수 없다는 일방적인 통보를 받아 코로나 환자들이 계속 응급실에 체류 중"이라고 지적했다.

방역당국은 최근 50대 이상이면서, 기저질환이 있는 코로나19 환자를 집중관리군에서 일반관리군으로 변경한 바 있다.

50대 이상,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 환자들을 일반관리군으로 변경한 것은 고위험군 치료의 한계점에 있는 동네병의원들의 의료대응 능력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일일 확진자가 40만명을 넘기면서 일반관리군 환자들에 대한 전화상담 및 처방은 어느정도 유지되고 있지만, 그마저도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인해 거의 진료가 마비 상태"라고 전했다.
 

병상 가동률 70% 수준은 이미 포화 상태 

한편, 방역당국은 16일 기준 957개 관리의료기관에서 28만 7000명 정도 재택치료가 감당이 가능하며, 꾸준히 관리의료기관을 확장한 결과 집중관리군은 32만 6000명 정도 감당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16일 집중관리군은 26만 8000여명이 관리되고 있으며, 16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43만 2482명인 상황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방역당국은 병상 가동률이 70% 정도까지 의료대응 능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의료현장은 방역당국의 70% 가동률은 이미 100% 포화상태라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역당국의 방역 완화는 단계적으로 진행돼야 하며, 오미크론 확산 정점 이후부터 적용돼야 한다"며 "방역당국이 전문가들의 의견에 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갑 교수 "독감도 일 40만명 확진 시 의료체계 붕괴" 비판

이런 분위기 속에서 한림의대 이재갑 교수(감염내과)는 SNS를 통해 유행 규모를 줄이지 않고 고위험군 감염을 막을 수 없다며, 의료체계를 넘어서는 환자 발생은 사망자를 급증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가 의료체계 여력에 한계가 왔음을 인정하고, 의료체계 붕괴 직전 상황을 솔직하게 고백해야 한다며, 독감도 하루 확진자가 40만명씩 발생하면 의료체계가 붕괴된다고 방역당국의 방역 완화 기조에 대해 작심하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