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숙 의원, 원내대책회의서 전공의 복귀 의료 양극화 지적
지역·필수 공공의료 인력 확보해야...공보의 복무기간 단축도 언급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지역의사제 도입 및 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전 의원은 2일 진행된 원내대책회의에서 지역과 진료과목 간 의료 양극화 해소를 위해 지역의사제 도입, 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로 지역·필수 공공의료 인력을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전공의가 복귀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그리고 필수과목과 인기과목 사이 양극화 심화의 조짐이 보인다"며 "서울 빅5 병원 충원율은 70%를 넘는데, 비수도권은 5~60% 수준에 불과했고, 특히 필수의료과의 경우는 복귀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인 곳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도권 병원에서도 응급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등 필수과목의 지원율이 전체 평균보다 낮아 의료공백이 지속될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날 복지부가 공개한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에 따르면 전공의 모집률은 수도권 수련병원 63%, 비수도권 53.5%였고, 필수의료과목 70.1%, 그 외 인기과목 88.4%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 의원은 "하반기 전공의 모집결과 지역 간, 필수의료과목과 인기과목 간 양극화가 심해졌고, 공중보건의의 충원율도 23%에 불과해 지역의료 위기가 본격화하고 있다"며 "지역의사제 도입, 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로 지역·필수 공공의료 인력을 확보하고, 공보의 복무기간 단축 등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의료정책, 초기부터 의료계와 정부가 논의해야"
- 政, 권역책임의료기관 중증·고난도 치료역량 강화
- 공보의 충원율 2020년 이후 계속 '미달'
- 수도권과 비수도권 필수의료 전문의 비율 '4배 차이'
- 빅5 전공의 복귀율 70~80%···지방대학병원 과반도 어려워
- 원해도 복귀 못하는 지방·필수의료 전공의들 "교수님 없어 수련 못 해요"
- "진료는 늘고 월급은 제자리"···공보의 진료장려금 7년째 동결
- 정은경 "군 복무 전공의 수련 연속성 위해 사후 정원 인정 검토"
- 의무사관후보생 42%는 필수의료 전공의
- "우린 안 돌아간다" 지역·필수의료과 전공의 미복귀 기류
- 새 정부 최우선 의료 아젠다, 의료계와 여당의 인식 차이는?
- '이재명 정부' 출범, 의료정책 향후 쟁점 4가지
- 의협 "지역의대·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 근본 해법 아냐"
- 지역의사제 속도 내는 ‘당·정·대’, 다음은 공공의대?
- 최대 예산 불구 공공의료 정책 실효성 논란 ···왜?
- 의협 '필수의료 강화 특별법' 반대..."원인부터 잘못 짚었다"
- 정기국회 내 통과된다던 지역의사제, 제동 걸리나?
- 이재명정부 첫 국감, 메인 이슈는 '지필공' 의료인력 수급?
- 공보의 급감에 보건지소 50.8% 공보의 없어
- 대공협 "정책결정권자, 내년도 공보의 규모와 대책 답변달라"
- 지난해 빅5 병원의 지방 환자, 전년도 대비 1.8% 증가
- 의료계 "지역의사제 취지엔 공감···실효성 의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