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협 "군복무 단축 통해 전문의 공백 줄여야"
수련 연속성, 특혜 아닌 의료인력 공급 위한 조치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올해 6월 의대생 중 현역 및 사회복무요원 입영자가 592명으로 집계됐다. 의정 갈등 이후 누적 인원은 3967명에 달한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대공협)는 최근 병무청을 대상으로 한 정보 공개 청구 결과를 11일 공개했다.
올해 6월 입영자는 총 592명으로 현역 입대 인원이 577명(병무청 현역입영과 추계), 사회복무요원 입대인원(병무청 사회복무관리과 추계)이 15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에만 2430명이 입대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입대자 1537명 대비 약 1.6배 늘어난 수치다.
대공협 이성환 회장은 "앞서 대공협 보고서에서 정량적으로 예측했을 때 의정갈등 이후 7000명이 입대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며 "군복무 단축을 통해 전문의를 조기 배출하면 1년의 공백을 효과적으로 메우고, 군과 공공의료 등 취약지 진료를 안정적으로 지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의정갈등으로 인해 입대하게 된 공보의와 군의관의 수련 연속성을 보장해줘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 회장은 "올해 1년 차로 입대한 공중보건의와 군의관 상당수는 고년차 전공의"라며 "이들이 복무를 마친 뒤에도 의사로서 역량을 온전히 이어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가 이들의 의사로서의 길이 군복무로 인해 단절되지 않도록 지켜달라"며 "이는 특정 집단에 대한 특혜가 아니라, 전문 의료 인력을 국가와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가정의학과醫 "한지아 의원 군의관 복무 기간 단축 법안 지지"
- 대공협 "공보의는 공공의료 최전선···제도적 지원 시급"
- 대공협, 복무 단축 정책제안서 발표
- 서울시醫 "공보의·군의관 복무기간 2년 이내로 단축해야"
- "복무기간 줄이고, 배치 적절성 제고해야 공보의 제도 존속"
- "군의관·공보의 안 간다" 의대생, 올해 1학기에만 2000명 이상 군 휴학
- 계속 줄어드는 공보의 지원, 제도 존속 위한 방안은?
- 사직 전공의 중 880명만 입영, 무작정 대기 2400여명 어쩌나?
- 미래의료포럼 "국방부 꼼수에 전공의 3300여명 무작정 대기"
- 의무사관후보생 42%는 필수의료 전공의
- "진료는 늘고 월급은 제자리"···공보의 진료장려금 7년째 동결
- 공보의 충원율 2020년 이후 계속 '미달'
- 올해 의과 공보의 충원율 23.6%···복무기간 단축 논의해야
- 공보의 급감에 보건지소 50.8% 공보의 없어
- 대공협-메디스태프, 공중보건 데이터 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