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오늘 서울대병원 박재일 전공의 소환…지난달엔 대전협 대표
서울의대 비대위 "전공의 탄압 멈춰라…전공의 복귀 가로막는 행태"
빅5 의대생들 "정부, 억압과 협박 일관…의료 시스템 파국으로 내몰아"

5일 경찰이 서울대병원 박재일 사직 전공의를 소환조사를 하기로 하자 교수와 학생들이 부당한 탄압을 멈추라고 비판했다.
5일 경찰이 서울대병원 박재일 사직 전공의를 소환조사를 하기로 하자 교수와 학생들이 부당한 탄압을 멈추라고 비판했다.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경찰이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소환조사하자 교수와 학생들이 부당한 탄압을 멈추라고 경고했다.

경찰은 지난달 21일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을 소환조사했다. 이어 오늘(5일)은 서울대병원 박재일 사직 전공의를 소환조사한다.

이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5일 입장문을 통해 "전공의들에 대한 부당한 탄압이 지속되면 좌시하지 않겠다"며 엄포를 놨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의료대란은 정부의 독단적인 정책 추진으로 발생한 것이기에 사직한 전공의들에게 그 책임을 물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미래 필수의료를 책임져야 할 전공의들이 정부를 신뢰할 수 없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어 전문가로서 자긍심과 꿈을 포기하고 병원을 떠나기로 선택한 것"이라며 "이들의 사직 행렬은 누군가의 사주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들의 사직은 현재 의료 시스템이 얼마나 뒤틀려 있는지, 정부 정책이 얼마나 잘못됐는지를 증명하는 증거"라며 "정부는 아직까지도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이 누군가의 사주로 이뤄졌을 것이라는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강압적인 행태는 현 사태를 악화시킬 뿐 해결 방안이 아니라는 점도 명확히 했다.

이들은 "정부는 전공의들을 상대로 명령을 내리고 면허 정지를 예고했으며, 현행법을 위반한 범법자로 규정한 채 막다른 길로 내몰았다"면서 "이제는 전공의 집단 사직을 사주했다는 근거 없는 혐의를 들이밀며 피의자 수준의 조사를 진행한다"고 비판했다.

또 "전공의는 국민의 한 사람이며 그들의 직업 선택은 인정돼야 한다"며 "국민 기본권을 침해하는 행태가 지속되면 젊은 의사들이 필수의료 현장으로 돌아오기란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빅5 의대생 "정부, 대답 대신 억압과 협박 일관"

후배인 의대생들도 즉각 반발했다. 

가톨릭의대·서울의대·성균관의대·연세의대·울산의대 등 5개 의과대학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유감을 표명했다.

의대생들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의료를 최전선에서 지탱해 온 사람들이 그 누구보다 앞장서서 의료개혁의 실상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면서 "그런 그들에게 정부는 대답 대신 억압과 협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끝을 모르는 일방적 폭주가 우리나라의 의료 시스템을 되돌릴 수 없는 파국으로 내몰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라"고 덧붙였다.

그런가 하면, 탄압이 지속되면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의대생들은 "더는 학생들에게 대화하자고 기만하며 복귀를 종용하지 말라"면서 "이번 경찰출석 요구를 통해 불통과 겁박의 정점을 찍은 정부는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개악을 개혁이라는 허명으로 포장하지 말라. 의료현장에 왜곡된 인식과 엇나간 방책으로는 뒤로 가는 개혁만 가능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