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단 위원장, 1일 서울경찰청 참고인 출석 요구서 수령
전남醫 "경찰, 무리한 수사로 전공의 대표 피의자로 전환할 가능성 높아"
"정부, 전공의 압박하기 위해 무리수 둬"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이 경찰로부터 받은 출석요구서. (출처: 박단 비대위원장 소셜미디어)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이 경찰로부터 받은 출석요구서. (출처: 박단 비대위원장 소셜미디어)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경찰이 전공의 대표에게 참고인 조사 출석 요구서를 전달하자 전라남도의사회가 전공의 탄압을 중단하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박단 위원장은 지난 2일 자신의 SNS를 통해 참고인 조사 출석 요구서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1일 서울경찰청 참고인 조사 출석 요구서를 등기 우편으로 받았다"며 "아직 변호인을 선임하지 못해 출석 일시 변경 요청서를 제출했다"고 전했다.

이어 "사직서를 제출한 지 벌써 반년이 다 돼 가는데, 이제 와서 경찰 권력까지 동원하는 것을 보니 정부가 내심 조급한가 봅니다"라며 "주어진 길을 걸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전남의사회는 8일 성명서를 통해 "경찰은 전공의의 자발적 사직을 대한의사협회 전·현직 집행부 선동과 사주로 인한 것이라는 고강도 짜맞추기 수사를 진행한 바 있다"며 "전공의 조사가 참고인 신분이라 할지라도, 사회 경험이 부족한 이들에게 경찰 조사가 주는 부담감과 위협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조치를 철회했다고 하지만, 집단이탈 교사·방조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밝혀 피의자 조사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특히 현 시점에서 경찰이 박 위원장을 소환한 이유는 전공의들을 압박하려는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의사회는 "정부가 무리수를 둔 이유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가 처참했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전공의를 압박하기 위해 개원면허제를 언급하고, 하반기 전공의 모집 기간을 연장한다고 밝혔다. 이는 먹지 못하는 상한 당근을 제시하며 채찍만 휘두르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사건의 발단이 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증원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는 것이 전공의를 돌아오게 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