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부터 온라인 피켓팅 통해 의료계 항의 메시지 전달
의협 총궐기대회 묵고할 수 없어…환자 피해 극심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환자단체가 의료계 집단 휴진 장기화 저지를 위한 행동을 전개한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9일 입장문을 통해 대한의사협회의 무기한 휴진 선포에 깊은 유감을 드러내며, 이를 묵고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의협은 이른바 총궐기대회를 열고 의사들의 정당한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의협이 무기한 휴진 철회 조건으로 내세운 것은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수정·보완,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소급 취소다.
그러나 의대정원 증원 재논의 시기는 현실적으로 지나버렸고, 나머지는 정부와 할 일이지 죄 없는 환자들에게 불안과 피해를 주면서 해결할 일은 아니라는 게 환자단체의 지적이다.
환자단체는 “의료계가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집단휴진, 무기한 휴진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을 고집한다면, 분노한 국민으로부터 머지않아 거센 역풍을 맞을 것”이라며 “이미 온라인 커뮤니티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를 중심으로 휴진 병의원 불매 운동이 언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환자단체도 19일부터 의료계 집단휴진 장기화 저지를 위한 행동에 돌입한다”며 그 첫 번째로, 의료계를 향한 항의의 메시지를 담아 온라인 피켓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환자단체는 “이를 통해 의료계가 환자와 국민의 목소리를 더욱 직접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해 의사가 의료현장을 떠나지 않고 정부와 대화와 협상하도록 견인하겠다”며 “의료계가 집단휴진, 무기한 휴진 결정을 철회하고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힘은 환자와 국민에게 있다고 우리는 믿는다. 많은 분이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 27일 집단휴진 논의되지 않았는데?... 총궐기대회 하루 만에 내부 파열음
- 파국을 향해 달리는 의·정 갈등...끝을 보려하나?
- 의료기관 집단 휴진율 14.9%…정부, 업무개시명령 발령
- 국회 복지위, 환자단체와 만남…의료인 파업방지법 추진 의지
- 복지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발전방안 논의
- 우리나라 3분 진료, 원인과 해결 방안은?
- 의료계 구심점 된 의협, 대표 역할 수행할 수 있나
- 정부 “의협, 집단휴진 아닌 대화로 문제 해결해야”
- 의협, 별도 대책위 출범…22일 첫 회의에서 대응 방안 논의
- 환자단체 "의료인력 수급 전문위 신설 환영…의정 대화 나서주길"
- 의사집단행동 이후 환자 상담 3638건…의정 합의 시급
- 환자단체 "휴진 참여하지 않은 의료진에 감사"
- 국회 연석 청문회 통해 의대정원 증원 해결책 찾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