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환자단체연합회 보도자료 통해 환영 뜻 밝혀
연합회 "내년도 의대정원 논쟁 멈추고, 2026년 증원부터 사회적 논의 필요"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4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의료인력 수급 추계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수급 추계 전문위원회 구성 방안을 논의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전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제4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의료인력 수급 추계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수급 추계 전문위원회 구성 방안을 논의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전했다.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를 위한 전문위원회를 신설하기로 결정하자, 환자단체가 환영의 뜻을 밝혔다.

24일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제4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의료인력 수급 추계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수급 추계 전문위원회 구성 방안을 논의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전했다.

의료인력 수급추계는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제시한 7대 요구안 중 하나로, 연합회는 지금의 의정갈등의 주요 쟁점인 의료인력 수급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는 것을 높게 평가했다.

연합회는 "이제라도 의료인력 수급 추계 및 조정을 위한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져 정부가 장기적 안목을 갖고 사회적 합의 하에 앞의로의 의사 수급 계획을 추진할 것을 강력 촉구한다"며 "2025년 의대정원은 이미 확정됐으므로 이에 대한 소모적 논쟁은 중단하고, 2026년 의대정원 규모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의사뿐만 아니라 환자와 국민 모두를 위한 의료개혁을 추진한다는 생각으로 대한의사협회와 대전협 등도 의개특위에 적극 참여하길 기대한다"며 의료계의 적극적 참여를 촉구했다.

다만, 의협 산하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는 23일 1차 회의 후 "2025년 정원을 포함한 의정협의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만큼, 내년도 의대 증원에 대한 논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회는 "지난 4개월간 의료공백 사태로 우리나라 의료체계 문제점을 온 국민이 낱낱이 알게됐고, 국민과 환자는 그로 인한 고통을 오롯이 짊어졌다"며 "더는 환자 피해가 계속되지 않도록 모두가 힘써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