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 HPV 질환 국가적 예방 정책 토론회 개최
남자 접종 시 예방 효과 뚜렷…호주 등 선진국서도 남녀 모두 접종
질병청 “접종 횟수, 연령 등 고려하는 단계”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은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 질환의 국가적 예방 필요성에 대한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윤석열 정부가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 백신을 남녀 모두가 접종할 수 있도록 국정 과제로 제시한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비용 효과를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전문가들은 여기에 더불어 자궁경부암 명칭을 ‘사람유두종 바이러스’로 변경하는 등 인식 변화에도 힘써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은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 질환의 국가적 예방 필요성에 대한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한림의대 이재갑 교수(감염내과)
한림의대 이재갑 교수(감염내과)

한림의대 이재갑 교수(감염내과)에 따르면 HPV 백신에 대한 접종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 역시 초반에는 유럽이나 미국 대비 국민의 동참이 무척 어려웠으나 현재는 접종률 65%에 도달했다.

이 교수는 “남성의 접종 적정 비율을 추가하면 남녀 집단 면역 형성에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라며 “남녀 모두 접종했을 경우 HPV 바이러스에 대한 유병률이 감소한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논문에서 증명이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할 때 남성 접종은 사실상 확장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또 접종율을 높이기 위해 자궁경부암이라는 질환 명칭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도 언급했다. 굳이 자궁 경부라는 생식기 이름을 언급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해당 질환은 남녀가 동일하게 걸릴 수 있는 감염병이라 사람유두종 바이러스로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남성에게도 접종해야 할 근거가 충분하다”며 “여성의 미래뿐만 아니라 남성의 미래를 위해서도 HPV 백신 접종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성이 HPV 백신 접종해도
남성이 바이러스 보유하고 있으면 큰 효과 없어

고려의대 민경진 교수(산부인과)
고려의대 민경진 교수(산부인과)

HPV 질환은 일상 생활에서는 성접촉으로만 감염된다. 감염된 이후 90% 이상은 자연스럽게 소멸되지만, 10%는 소멸되지 않고 질환으로 발전한다. 흡연과 음주,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다.

미국 자료에 따르면 25세 이상 성인 여성 가운데 HPV 바이러스를 보유한 비율이 35% 정도이며, 남성은 45%였다.

여성을 대상으로 백신을 접종해도 남성이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으면 결국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이 의료진의 설명이다.

또 암을 일으키는 인자들은 지역별로 다른데, 국내에서는 52번과 58번에 대한 커버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인식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아시아 자료를 살펴보면 92% 정도가 16번, 18번, 30번, 31번, 40번, 50번, 58번 등 7가지의 위험 요소를 가진 것으로 확인된다.

고려의대 민경진 교수(산부인과)는 “7가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면, 이상적이지만, 자궁 경부암 관련 질병을 90%는 줄여나갈 수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측한다”며 “이제는 치료에서 예방으로 정책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HPV 백신 접종이 이뤄진 이후로 데이터의 흐름이 바뀌었다. 17세 이전에 백신을 접종했던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궁경부암 발생률이 효과적으로 감소했다는 게 입증됐다는 설명이다.

WHO는 이런 근거들을 대상으로 자궁 경부암 달성률은 10만명당 4명 이하로 만들자는 전략을 발표했다. 호주는 해당 전략을 가장 잘 따라가는 국가로, 민 교수는 우리나라 역시 호주처럼 접종을 남녀 공통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 “접종 횟수, 연령 제한 등 고려해 방안 마련”

질병관리청은 비용 효과를 최대한으로 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살피고 있다는 설명이다.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기획과 권근용 과장은 “의학적 근거, 사회적 요구, 재정 확보 세 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어떤 경우의 수를 채택하느냐에 따라 예산이 입체적으로 변한다”고 말했다.

의학적 근거와 사회적 요구는 국가 백신으로 전환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문제는 재정 확보다. 질병관리청은 이를 위해 타 선진국의 접종 횟수, 연령 제한 등을 고려해 여러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권 과장은 “내년 3월까지는 결정을 내린 뒤 국회 설득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며 “특히 접종 횟수가 백신 효과에 끼쳐서는 안 되기 때문에 다양하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