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청과 전공의들이 말하는 소청과 현실 그리고 미래
서울아산병원 김서연·서울대병원 최윤영·고대구로병원 김현서 전공의

(좌측부터) 서울아산병원 김서연(3년차), 서울대병원 최윤영(3년차), 고대구로병원 김현서(1년차)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소아청소년과가 지독한 몸살을 앓고 있다. 좀처럼 쉽게 낫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언론은 소청과가 “죽어가고 있다”고 앞다퉈 보도한다. 소생이 불가능하다는 냉소적 반응도 적지 않다.

기록은 소청과가 앓고 있는 몸살을 증명한다. 올해 소청과 전공의 지원율은 15.9%다. 전체 모집 인원 207명 중 33명만이 지원한 것이다. 소위 ‘빅5’라고 불리는 서울 내 종합병원도 미달 사태를 피하지 못했다.

1차선을 담당하던 소청과 개원의들은 단체로 모여 폐과를 선언했다. 낮은 수가 때문에 정상 진료가 불가능하다며, 살기 위해 통증이나 피부·미용 클리닉으로 떠나겠다고 했다.

아무도 들어서지 않고 남아 있는 자들도 떠나버리는 황무지. 그 길을 걷는 소청과 전공의들은 좋든 싫든 관심의 대상이 된다. 누군가에게는 걱정과 응원을 듣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미련하다는 비웃음을 사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에게 중요한 건 외부의 왈가왈부 따위가 아니다. 눈앞에 있는 아이를 살려내는 일, 그리고 그 아이가 사회구성원으로 자랄 수 있도록 뒤에서 그늘이 돼주는 것이다.

본지는 창간 22주년을 맞아 소청과 전공의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날 자리에는 서울아산병원 김서연 전공의(3년차), 서울대병원 최윤영 전공의(3년차), 고대구로병원 김현서 전공의(1년차)가 참석했다.

1. “오직 나만이 할 수 있는 일” 소청과 선택한 전공의들

2. 후회하지 않았다면 거짓말, 하지만 아이들 보면 웃음 지어져

3. 소청과, 한 아이의 머나먼 인생길을 함께 걸어주는 것

 

소아청소년과를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

고대구로병원 김현서 전공의(1년차)

김현서 전공의(이하 현서): 원래 아이들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었다. 바이탈을 보고 싶어 내과와 외과, 산부인과, 소청과 사이에서 고민했다.

산부인과는 환자들이 여의사를 선호해 힘들 것 같았고, 외과 역시 내가 수술에 흥미가 없다 보니 적성에 안 맞아 보였다.

그러다 보니 내과와 소청과만 남더라. 개인적으로 소청과가 더 보람 있어 보였다. 지원자가 적은 것도 나한테는 매력으로 다가왔다.

최윤영 전공의(이하 윤영): 유전성 질환이나 혈액종양질환 등 소아 희귀난치성질환을 치료하고 싶어 선택했다. 서울대병원은 희귀질환 환자들이 많이 찾는다. 임상을 시작하기 전에는 유전자 치료 연구를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아이들을 워낙 좋아한다. 학부 시절에는 아동가족학과를 부전공하기도 했다. 힘들지만 치료를 견뎌내고 잘 자라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는 것이 뿌듯하고 기분 좋다.

김서연 전공의(이하 서연): 원래 기초의학에 관심이 많아 M.D.Ph.D 과정으로 분자생물학 교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임상 경험이라도 해보자는 생각에 인턴을 시작했다.

그러나 성인 파트에서 수많은 죽음을 목격했다. 좀 더 나은 치료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포기하거나 회피하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이 많았다.

결국 모두가 한 생명을 살리는 것에만 집중하는 과를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고민 끝에 소청과를 선택하게 됐다.

 

소청과 전공의로서 하루 패턴은 어떻게 되나?

서울대병원 최윤영 전공의(3년차)

윤영: 연차별로 다르다. 1년차 때는 일반 병동 입원환자 10~13명 주치의를 맡고, 2년차 때는 중환자실 및 병동 중증환자 주치의를 맡아서 본다. 3년차 때는 외래에 들어가면서 다양한 환자를 보게 된다.

1~2년차 때는 원칙적으로 오전 8시 출근~오후 5시 퇴근인데, 환자들 이야기를 듣다 보면 오후 5시가 지나 퇴근한다. 전공의 특별법에 규정된 내용처럼 80시간 이내로 일한 적은 별로 없는 것 같다.

퇴근하지 말라는 사람은 없지만, 업무와 별개로 환자 한 명 한 명을 공부하다 보면 시간이 빨리 흐르기 마련이다.

서울대병원은 연건동 병원 외에도 보라매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국립암센터, 제주대병원 등 5개 병원을 순환 근무한다. 6월에는 암센터 파견을 다녀왔다.

현서: 우리 병원(고대구로)에는 2~3년차가 없고 4년차만 3명 있다. 1년차 전공의는 나 혼자다. 그래서 업무가 많이 힘들 거라고 생각할 텐데, 그렇지는 않다.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전공의 주 80시간 제도도 현장에서 잘 지켜지는 편이다. 퇴근 시간 후에 병동에서 서성이다 교수님을 마주치면 퇴근하라고 한 소리 듣기도 한다.

보통은 오전 7시 30분에 출근해 9시부터 회진을 돈다. 회진 정리를 하고 나면 11시 정도가 되는데, 이때 다음 날 처방을 내고 시술이나 검사를 실시한다. 오후에는 또 교수님과 회진을 돈다.

서연: 오전에는 담당 환자들의 기록을 확인한 뒤 교수님과 회진한다. 이후 필요한 검사나 술기를 준비하거나 시행하고 다음 날 처방을 확인한다. 중간에 저널 컨퍼런스나 회의에 참석하고, 외래 참관을 통해 다른 환자들을 만나기도 한다.

퇴근 전에는 다시 한번 환자 목록을 뽑아 환자들의 하루 변화나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밤 동안 어떤 것들을 주의해야 할지 당직자에게 인계하며 하루를 마무리한다. 그리고 외래에서 접한 환자들의 질병에 대해 공부하고, 현재 진행하는 연구와 관련해 새로운 정보는 없는지 확인하기도 한다.

 

최근 소청과 위기가 불거지면서

주변으로부터 걱정 섞인 말도 많이 들었을 것 같다.

서울아산병원 김서연 전공의(3년차)

서연: 의료인이 아닌 지인들에게는 “응급실로 환자들이 몰린다는데 더 바빠지는 건 아니니?”, “아무도 소청과 안 한다는데 진로는 괜찮니?” 같은 걱정을 들었고, 의료인인 지인들한테는 “대체 왜 그 과를 골랐냐, 빨리 나와라” 등의 말을 들었다.

현서: 소청과를 왜 하냐는 사람은 없었다.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들은 나보고 하고 싶은 거 하라더라. 한편으로는 위기론이 대두되니 오히려 존중해 주는 느낌도 강하게 받았다. 보호자들도 고맙게 생각해 준다.

윤영: 내가 곧 결혼 예정인데, 예비 남편은 하고 싶은 거 하라고 응원해 준다. 건강 해칠까 봐 그게 걱정이지. 다른 가족들도 비슷한 반응이다.

다만, 같은 의료진 사이에서 특별히 존중받는지는 모르겠다. 수술이나 검사를 위해 마취과나 영상의학과에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했다 무례한 답변을 듣고 크게 싸운 적도 있다. 그 사람들도 일이 많으니 짜증나고 힘들었을 테지만.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