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목표 756병상 중 330병상 확보 중
병원계, 병상확보 위한 시설공사·병동비우기 진행
코로나19 치료 위한 의료인력 확보 어려움 호소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방역당국이 코로나19(COVID-19) 치료 병상 확보를 위해 수도권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에 행정명령을 발동했지만, 병원계는 인력 확보가 더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8월 13일 수도권 코로나19 치료병상 확보를 위해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수도권 코로나19 전담병상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에 따르면, 중증병상 확보를 위해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 병상확보 비율을 기존 1%에서 1.5%로 확대하고, 7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허가병상의 1%를 확보해 171병상을 늘릴 계획이다.

또, 중등증 병상은 300~700병상의 종합병원에 대해 허가병상의 5% 확보해 594병상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방역당국은 이번 행정명령 발령으로 의료기관들이 2주 이내 병상 가동을 추진할 계획이며, 원활한 병상확보를 위해 지자체에 관한 의료기관별 병상확보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주가 지난 현재 방역당국의 병상확보 목표인 756병상 중 330병상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으로 중증병상은 171개 병상 중 138개 병상이 가동되고 있으며, 중등증병상은 594병상 중 192병상이 확보된 상태다.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들은 지난 12월 행정명령에 따라 1%의 병상확보 경험이 있어 추가 병상확보에는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기존에 병상확보를 하지 않았던 700병상 이상 종합병원과 300~700병상의 종합병원들은 새롭게 병상을 확보하는 상황으로 병상확보에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것이다.

700병상 이상 종합병원 9개 병원은 △은평성모병원 △순천향대 서울병원 △이대서울병원 △성빈센트병원 △공단 일산병원 △중앙보훈병원 △분당차병원 △동탄성심병원 등이다.

이중 중앙보훈병원은 최근 코로나19 중증병상 10개 병상 확보를 위한 공사를 마치고 진료 인력도 배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복지부는 이번 행정명령에 따른 목표 병상확보가 9~10월 중이면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중등증병상을 확보해야 하는 300~700병상의 중소종합병원들이 얼마나 병상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현재 중등병상은 594병상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서 192병상만 확보된 상태.

중증등병상 확보를 위한 수도권 26개 중소종합병원들은 병상확보를 위한 시설 공사 뿐만 아니라 병동 자체를 비워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들은 지난해 12월 병상확보 경험이 있어 진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중등증병상을 확보해야 하는 종합병원들은 코로나19 치료병상 자체가 없었다. 병상을 확보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9월 말에서 10월 말 경이면 목표 병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등증병상 확보를 위한 종합병원들은 기관마다 처해 있는 상황이 달라 최대한 유연하게 병상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병원들은 병동을 비우기 위해 타 병원으로 환자들을 전원해야 하고, 전원할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이 있어 병상확보가 가능해 복지부는 각 종합병원들과 협의를 통해 병상확보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설 공사는 가능하지만 인력은?

이런 정부의 병상확보 계획에 대해 수도권 병원계는 병상 확보를 위한 시설 공사 등에 대해서는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치료병상 확보보다 의료 인력 확보가 더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서울 상급종합병원 A 병원장은 "상급종합병원으로서 코로나19 치료병상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행정명령으로 추가 병상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병상 확보는 가능하지만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인력들이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가 코로나19 병상 확보를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병원계 현장의 가장 시급한 인력 문제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며 "이미 번아웃 상태인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 인력에게 희생을 요구하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이런 병원계의 목소리에 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들은 자체 인력으로 운영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대신, 300~700병상 종합병원들에 대해서는 의료인력 파견을 위한 매칭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 복지부의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행정명령으로 의료기관들이 병상을 확보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지만 인력 문제에 대해서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을 잘 알고 있다"며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은 자체 인력으로 가능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중소병원은 인력문제가 심각할 수 있어 인력지원팀에서 의료기관과 의료인력을 매칭하고 있다"며 "2개월 동안 근무한 후 의료기관이 정직원으로 인력을 고용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손실보상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인력지원을 위해 복지부는 최대한 어려운 의료기관에 대해 인력지원을 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상급종합병원들과 종합병원들은 복지부의 이런 입장에 대해 현실을 잘 모르고 있다는 분위기다

경기도 B 병원장은 "상급종합병원 역시 자체 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코로나19 치료 이외 선별진료소 운영과 생활치료센터 파견 등 의료인력에 대한 여유가 없는 실정"이라고 반박했다.

B 병원장은 "자체 간호인력과 파견 간호인력 간 급여 차이로 인해 간호인력 간 갈등도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가 자체 의료 인력에 대한 수가 반영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