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부 김나현 기자
취재부 김나현 기자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새로운 코로나19(COVID-19) 방역체계인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로 전환한 지 2주가 지났다.

영업시간과 인원 제한이 있었던 식당 및 주점은 모처럼 늦은 시간까지 활기를 띠고 있지만, 일각에서 우려한 대로 신규 확진자 급증세는 좀처럼 잡히지 않는 모양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지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위중증 환자가 연일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15일 기준으로 서울은 중환자 병상이 약 79%가 찼고, 수도권 환자가 비수도권으로 이송되는 사례도 많다.

정부는 가장 시급한 정책 방향을 병상 확보에 두는 모습이다. 위드코로나로 전환한 이후 정부는 행정명령을 통해 의료기관에 병상 확보를 주문했다.

의료기관이 행정명령을 받더라도 시설공사 등을 준비하는데 최소 4주가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 미리 조치를 내렸다고도 강조했다.

문제는 치료 병상을 확보해도 환자를 돌볼 인력이 충분 하느냐다. 이미 의료현장에서는 위드코로나가 시행 이전부터 중환자 전담 인력 확충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서울대 김윤 교수는 "병상만 늘리면서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는 막상 정부의 통계에는 병상이 비어 있어 환자를 받으라고 하면 인력이 부족해 못한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라며 "고육책으로 민간병원의 병상을 확보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전담병원에서 근무하는 한 간호사는 전담병원이 코로나19 환자를 받지 않으려 한다는 비난이 나오는 것에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간병이 더 많이 필요한 고령층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인력은 그대로고, 병원에 따라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를 케어할 능력도 천차만별이라는 것이다.

정부도 나름 고민하는 모습이다. 행정명령에 따른 병상확보 인력 문제는 중수본의 대기인력을 지원한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다만 어떠한 정책도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듯 대기인력 활용 방안도 마찬가지다.

파견 인력과 기존 근무 인력 간 임금 격차에 따른 박탈감, 현장에 급히 투입된 탓에 숙련도가 떨어지는 등 임시방편이라는 비판은 늘 있었다.

정부는 병원에서 최대한 의료 인력을 확보하도록 요청했고, 그래도 부족할 경우 중수본에서 인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즉 병원의 자체적인 인력 확보가 먼저라는 것이다.

정부는 행정명령을 시행하겠다는 엄포만 내놓고 인력 충원은 손을 놔선 안 된다. 코로나19 환자 치료는 병상이 아닌 인력이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거듭된 병상 확보 행정명령으로 병원의 피로감도 높아진 상황이다. 

우여곡절 끝에 위드코로나에 돌입한 만큼 중환자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전담 인력 확충에 집중해야 일상 회복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그 과정에서 의료계와의 소통은 필수 조건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