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 11일 응급의료기관 종별 진료 결과 발표
의료대란 이후 응급중증환자 사망률 감소했지만 경증환자 사망률은 늘어
“응급실 본인 부담금 인상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 시급”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의료대란 이후 응급실에 오는 중증환자의 사망률은 감소한 반면, 경증환자의 사망률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은 11일 국립중앙의료원(NMC)으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의료기관 종별 중증도 분류 결과별 응급실 진료결과를 분석해 공개했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응급실을 찾은 환자 십만명당 사망자수는 662.5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583.7명)에 비해 13.5%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응급실 내원 환자 중 중증환자의 10만명당 사망자수는 2023년 8,523.0에서 2024년 8,315.6으로 2.4% 감소한 반면, 중증도가 낮은 환자의 십만명당 사망자수는 2023년 22.2명에서 2024년 25.7명으로 16.0% 증가했다.
중증도 분류상 ‘기타 및 미상’인 응급실 내원환자들의 10만명당 사망자수 또한 같은 기간 동안 31.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내원환자들의 십만명당 사망자수가 증가한 Level 4+5의 환자들을 응급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이 많이 찾는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십만명당 사망자수는 2023년 21.1명에서 2024년 11.1명으로 47.5% 감소했다.
반면 지역응급의료기관의 10만명당 사망자수는 2023년 22.5명에서 2024년 31.4명으로 3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 ‘기타 및 미상’ 환자들의 경우 올해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제외하고 지역응급의료센터(+386.7%)와 지역응급의료기관(+31.2%) 모두에서 작년에 비해 10만명당 사망자수가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민 의원은 “정부는 경증환자들에게 대형병원 응급실에 가면 환자본인부담금을 90%까지 늘리겠다고 국민들을 겁박하고 있다. 돈 없으면 죽으라는 것인가”라며 “복지부는 응급실 본인 부담금을 올리는 엉터리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의협 "응급실 의사 블랙리스트 유감" 명단 작성·유포 중단 촉구
- 의개특위 출범 5개월…어디까지 왔나 살펴보니
- 복지부, 추석 연휴 동안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
- 추석 전후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진찰료 3.5배 인상
- 추석 연휴 일 평균 7931개 병·의원 당직 운영
- "조규홍·박민수·인요한 등 의료적폐 3인방 공직에서 사퇴해야"
- “응급실 내원 환자 사망률 높아졌다? 사실 아냐”
- 4개 의료계 단체 "추석 연휴에도 의사는 의료현장 지킬 것"
- 응급실 떠나는 군의관들…왜?
- 政, 추석 연휴 한시적 건보 수가 인상…“의료진에게 감사”
- 난항 겪는 여야의정 협의체, 2025학년도 의대증원 재논의할까
- "소아응급의료, 붕괴 우려…정부 대책 마련 필요"
- 政, 추석 연휴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
- 복지부, 응급의료법 상 진료거부 사유 지침 구체화
- 의료급여 수급자 10명 중 6명은 건강검진 안 받아
- NMC 2024년 병상 가동률 40% 손실…손실 추정액 400억 원
- NMC, 물리치료사 신경계질환 마스터 과정 교육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