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5일 오전 회의 개최하고 응급 의료계획 논의
“의협과 전공의도 의개특위에 적극 참여해달라”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5일 오전 박민수 제1총괄조정관 주재로 회의를 개최해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 상황과 추석연휴 대비 응급의료계획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추석 연휴 응급의료체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난 8월 28일 추석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을 발표했으며,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운영한다.
각 지자체는 지자체장을 반장으로 한 ‘비상의료관리상황반’을 설치·운영해 비상진료체계를 적극 가동한다.
또 응급실 미수용 방지를 위해 전국 409개 응급의료기관 중 진료차질이 예상되는 25개소에 대해서는 복지부 전담책임관을 지정해 1:1로 집중관리하고, 그 외 384개 응급실에 대해서도 행안부․지자체가 각 응급실별로 전담해 관리․모니터링한다. 특이사항 발생 시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 인력지원을 위해 9월 4일부터 군의관 8차 파견을 시작했다.
이번 파견 인원은 총 250명이며, 이 중 15명은 인력지원이 시급히 필요한 집중관리대상 의료기관 5개소에 어제 배치했다. 추가 235명도 응급의료를 중심으로 필요한 의료기관에 9월 9일까지 배치할 예정이다.
박민수 제1총괄조정관은 “현재 응급의료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기존 의료체계에서도 있었던 문제로, 이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정부가 의료개혁을 추진하는 이유”라며 “의협, 전공의도 의료개혁 특위에 참여해 대한민국 의료의 발전을 위한 건설적인 논의에 속히 참여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 응급실 응급 상황인데, 정부는 계속 헛발질
- 응급실 진 료제한 메시지 급증…지난해 대비 1만 3407건 ↑
- 국내 투석전문의 증가세이지만 지역별 분포 불균형 나타나
- 政, CSO 신고제 교육기관 접수 받아…제출 예상 규모는?
- 政, 이대목동병원 등 5곳 군의관 15명 긴급 배치
- "전화 가능하면 경증" 박민수 차관 발언에 의협 "망언 제조기"
- 중대본, 9월 25일까지 비상의료관리상황반 설치 및 운영
- 원로 교수 49인, 의료 사태에 대한 시국선언문 발표
- 상종 구조 전환, 핵심은 ‘환자 권역 내 치료’
- “군의관·공보의 파견, 軍·지역 의료 체계 공백 초래”
- 응급의학과 전문의 90%, 추석 응급의료 위기 예상
- 추석 전후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진찰료 3.5배 인상
- 政 “의료계, 여야의정협의체 조속히 참여 부탁”
- 계약형 필수의사제, 내년 초부터 실시…참여 지역 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