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전병왕 실장, 4일 의사 집단행동 중수본 브리핑 개최
기간 종료되는 공보의·군의관 파견 연장하고 전원 정책지원금도 상향
전공의 향해“정부와 대화해 달라” 강조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공중보건의사와 군의관의 상급종합병원 파견 기간이 연장된다. 일부 인원은 다른 인력으로 교체된다.
또 47개 병원을 암 진료 협력병원으로 지정하고, 국립암센터에 암 환자 상담 콜센터를 설치함으로써 암 환자 지원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4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11일 공보의와 군의관을 상급종합병원에 파견했다. 이 중 154명이 오는 7일자로 파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복지부는 110명은 근무 기간을 한 달 연장하고 나머지 44명은 다른 인력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또 상급종합병원이 진료 중은 환자를 진료협력병원으로 전원 조치하는 경우 지급하는 정책지원금 역시 기존의 8만 9000원에서 12만원으로 상향한다. 전원 환자를 받은 진료협력병원은 전원 건당 8만 5000원을 지원받는다.
이외에도 정부는 암 진료 적정성 평가에서 1, 2등급을 받은 47개 병원을 암 진료 협력병원으로 지정했다. 또 암 환자 지원 강화를 위해 국립암센터에 암 환자 상담 콜센터를 설치하고 오는 5일까지 직원을 모집한다.
상반기 합격 인턴 중 수련 인원은 4.3% 불과
정부 “전공의, 집단 행동 중단하고 정부와 대화해야”
올해 상반기 합격 인턴 중 수련을 등록한 인원은 전체의 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068명 중 131명이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비상진료체계도 여전하다. 지난 3일 기준 수도권 주요 5대 병원 일반 입원 환자는 4959명으로 전주 대비 4.3% 증가했으며, 다른 상급종합병원은 1만 8486명으로 지난 주 대비 7.2% 증가했다.
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전체 765명으로 평상시와 유사하며, 응급실 40곳 중 97%인 395곳은 병상 축소 없이 운영되고 있다.
전 실장은 “전공의들이 환자 곁을 떠나면서 많은 국민이 현 상황에 대한 우려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며 “집단 행동을 중단하고 의료 현장으로 조속히 복귀해달라. 그리고 정부와의 대화에 참여해 달라. 정부는 열린 자세로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3일 대한병원협회와의 간담회에 이어 4일 환자단체 및 소아과학회와 만남을 가지는 등 의료각계와의 소통 저변을 넓힌다는 설명이다.
- "전공의 대표, 조건 없이 대통령 만나라" 전의교협 간부, 사퇴
- 전공의 떠나고 휘청이는 병원 경영 ...대안 없어 속타는 대학병원들
- 단대병원 교수, 60% 이상 사직서 제출 "정부, 의료대란 종결 의지 없어" 비판
- 의약평론가회 "증원보다 필수의료 확충이 우선…이젠 대화로 해결할 때"
- 불통의 숫자 '2000'
- 정부의 원래 뜻은 무엇? "2000명은 최소 규모" vs "전향적 검토 가능"
- 환자단체들 "환자들 위험한 상황…醫·政 전향적 자세 필요"
- [속보]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 윤 대통령 만난다... 대화 수용 의지 밝혀
- 尹-박단 만남…대전협 “의대증원 철회 요구 변함 없어”
- 政, 내년 전공의 비수도권 배정 비율 상향…11월 최종 결정
- 필수의료 전문가들, 건강보험 투자계획 향후 과제 논의
- 복지부, 2024년도 신규 공보의 716명 배치
- 政, 공사보험 연계 강화·실손보험 보장범위 합리화 추진
- 환자단체, 제22대 국회 향해 “환자 중심의 보건의료 정책펼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