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단체聯, 4일 "정부-환자단체 간담회, 의료공백 해결할 단초되길"
환자 피해 조사 결과, 입원 등 연기 사례 다수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환자들은 하루하루 속이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가 환자들의 피해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정부가 나서서 의료대란 사태를 종결시켜달라고 호소했다.
연합회는 4일 논평을 통해 "4일 열린 보건복지부와 환자단체 대표들 간 간담회가 현재의 의료공백을 종식하는 실질적 단초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날 환자단체와 간담회를 갖고 의료 공백으로 인해 불안과 피해를 겪고 있는 중증·난치성질환 환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7주째 이어지며 장기화하자, 중증·난치성질환 환자들은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연합회가 2월 26일부터 지난 3일까지 집단행동으로 발생한 환자 피해 사례를 조사한 결과, 총 38건의 피해가 접수됐다. 그 중 다수는 입원 또는 치료가 연기돼 환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연합회는 "환자들과 일상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환자단체는 매일 들려오는 환자들의 절박한 호소에 하루하루 속이 타들어 간다"며 "환자들이 더 심각한 피해를 보기 전에 이 사태가 빨리 종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를 향해 "오늘 정부와 진행한 간담회가 요식행위가 아닌 실질적 사태 해결의 단초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힘써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와 의료계가 서로의 입장만 내세우는 싸움에서 결국 환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어, 이제는 정부와 의료계가 전향적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연합회는 정부가 이번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를 추진하고 국회에서는 법률을 제·개정해 줄 것도 요구했다.
그 어떤 나라에서도 의사 파업이나 집단행동으로 인해 환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없다는 게 연합회의 설명이다.
이에 연합회는 "정부는 중증·난치성질환 환자가 이번과 같은 피해와 불안을 다시는 겪지 않으려면, 어떤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전했다.
- 의료대란에 환자들 피해만 막심…“사태 해결 시급”
- 의료 대란 장기화에 절망하는 환자들 “사람 목숨 하찮지 않아”
- 희귀질한 4개 환자단체, 22대 총선 공동 정책제안서 전달
- 정부, 공보의·군의관 파견 기간 연장…암 진료 협력병원 47개소 지정
- 政, 내년 전공의 비수도권 배정 비율 상향…11월 최종 결정
- 필수의료 전문가들, 건강보험 투자계획 향후 과제 논의
- 政, 공사보험 연계 강화·실손보험 보장범위 합리화 추진
- 환자단체聯, 내달 4일까지 의료공백 해결 위한 국민동의청원
- 환자단체, 제22대 국회 향해 “환자 중심의 보건의료 정책펼쳐야”
- 이도 저도 못해 절망한 환자들 "의정 갈등으로 고통받는 건 환자 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