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재택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원격 모니터링, 원격의료랑은 다르다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고령화가 가속화 하면서 크게 대두되는 새로운 의료 시스템은 재택의료다.

그렇다면 왜 하필 재택의료인가. 그리고 재택의료를 일찍 도입한 일본에게서 우리는 어떤 것을 배우고 무엇을 배우지 말아야 하는가.

한일 재택의료 시스템을 분석하고, 우리나라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지점들을 조명해보기로 한다.

[2024 신년특집 ①] 재택의료 걸음마 뗀 韓…日에게서 무엇을 배워야 하나

[2024 신년특집 ②]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한국형 재택의료

韓 재택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대한재택의료학회 이동형 총무이사는 “지금은 수가를 논의할 단계가 아니다. 가장 시급한 건 의료법 개정과 재택의료 정의를 명확하게 마련하는 것”이라며 “의사는 환자에게 일회성 소독을 해주기 위해 방문하는 게 아니다. 어떤 환자의 문제점을 놓고 계획을 짠 뒤 방문하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재택의료 내용을 의대 교육 과정에 추가하고, 재택의료가 국가 전체 의료비 절감에 도움이 되는지 한국형 연구도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과의 차이점으로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적용 여부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디지털 헬스케어 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매번 의사가 방문할 필요 없이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끔 하자는 것이다.

다만 원격 모니터링이 원격의료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이사는 “초진은 반드시 대면 진료가 원칙”이라며 “하지만 모니터링을 통해 의료진이 얻을 수 있는 환자 데이터가 많고, 이를 통해 급한 상황에 방문하는 식의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3차 병원 입원 환자들이 집으로 돌아가기 전에 중간단계를 거칠 수 있도록 전환기 케어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이사는 이 전환기 센터로 요양병원을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이 이사는 “환자들이 다들 요양병원이 현대판 고려장이라고 생각하지 않느냐. 그런데 전환기 치료 센터로 허용해주면 3차 병원도 (장기 입원) 부담을 덜고, 환자도 집으로 가기에도 편하고, 요양병원 인식도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 모든 건 의료법부터 개선돼야 한다. 이 이사는 “재택의료의 종착점은 임종기 케어다. 해외에서는 자택 임종의 필요성이 떠오르는 상황”이라며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제 겨우 걸음마만 뗀 수준이라 임종기 케어까지는 언급도 안 된다. 법안 개정이 시급하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