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협, 29일 초연결 사회에서의 병원 경영의 미래 회의 2회차 개최
‘응급의료, 필수의료 붕괴의 기폭제인가 보완제인가?’ 포럼 열려
정부 “전원 시스템 개선 위해 협의체 마련, 전문가 의견 듣는 단계”

대한병원협회는 28일에 이어 29일 오후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초연결 사회에서의 병원 경영을 주제로 하는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3 2일차를 개최했다.
대한병원협회는 28일에 이어 29일 오후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초연결 사회에서의 병원 경영을 주제로 하는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3 2일차를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응급의료체계를 완성하는 것은 병원 간 전원 네트워크의 구축이라는 데에 전문가들이 의견을 일치했다.

경증 환자의 과도한 응급실 이용과 적정 이송 지침의 부재 등도 원인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전원 네트워크 미비가 현재 우리나라 응급의료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라는 것이다.

대한병원협회는 28일에 이어 29일 오후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초연결 사회에서의 병원 경영을 주제로 하는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3 2일차를 개최했다.

행사 마지막 시간인 ‘응급의료, 필수의료 붕괴의 기폭제인가 보완제인가?’ 포럼에서는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명지병원 김인병 응급의료센터장

명지병원 김인병 응급의료센터장은 먼저 응급실 내원 환자의 90% 이상이 경증 환자임을 짚었다. 급성 중증 환자는 최대 9% 정도라는 것이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COVID-19) 엔데믹을 맞이하며 3~4월 내 응급실 환자가 폭증하다 보니 문제 발생 확률이 높았다고도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굉장히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문제다. 합의된 객관적 ‘수용 곤란’ 기준이 없다보니 의료기관이 주관적으로 수용 거부를 하고, 또 구급대도 주관적으로 환자를 분류했다. 여기에 적정 이송 지침 등도 부족하다 보니 이송 지연 등의 사태가 발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지난 6월부터 전국 구급지도관 및 대원 교육을 실시했으며,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을 줄이기 위해 문화 개선 캠페인 및 119 대국민 상담 강화 등을 추진했다.

관영응급의료상황실을 구축한 것도 눈길을 끈다. 병원 간 전원 이송병원 서정을 수월하게 해 고위험 질환 치료 속도를 높인 것이다.

김 센터장은 이외에도 지자체가 진료협력체계를 구축 및 지원해야 하며, 지역응급의료체계를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소아환자 비대면 상담과 중상기반 의사 결정, 응급실 이용문화 개선 캠페인 등의 현 정책이 계속 이어져야 한다.

그는 “우리나라가 하드웨어는 충분한데 소프트웨어가 부족하다.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의료기관은 의료기관대로 따로 논다”며 “지역의료협의체가 운영되면 해소가 가능한데, 현재 풍토에서 그게 쉽지가 않다. 그래도 기관들이 서로 모니터링하고 신속히 전원 가능한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2024년도 응급의료체계에 큰 변화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원 시스템 제대로 갖춰져있지 않다 보니
환자 수용 병원 찾는 데에 시간 지나치게 소요

대한병원협회는 28일에 이어 29일 오후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초연결 사회에서의 병원 경영을 주제로 하는 KOREA HEALTHCARE CONGRESS 2023 2일차를 개최했다.
세종병원 박진식 이사장은 환자 전원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있지 않다보니 구급대에서 환자 수용이 가능한 병원을 찾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세종병원 박진식 이사장은 환자 전원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있지 않다 보니 구급대에서 환자 수용이 가능한 병원을 찾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박 이사장은 “수용 가능한 병원 찾는 데 절반의 시간을 쓴다. 도심권에서는 충분히 (치료를) 하고도 남는 시간”이라며 “최종치료 가능한 병원에 환자가 바로 간다고 해도 외과팀이나 수술팀을 부르려면 최소 한 시간은 걸린다. 그런데 전원 시스템이 잘 안 돼있으니 문제”라고 말했다.

궁극적으로 전원 시스템이 마련돼야 3차 병원이 중증 질환을 맡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보건복지부에서 논의 중인 응급의료체계 개편 혁시 핵심적으로 봐야 할 부분은 전원 협력 네트워크의 강화 여부라는 것이다.

 

복지부, 의사소통 체계 관리 협의체 마련…시스템 개선 약속

복지부 응급의료과 이용희 사무관은 지역별로 적정 이송병원 선정 지침이 마련돼 있지 않은 점을 인정했다. 119 구급대와 의료기관 체계가 각기 다르다보니 응급의료체계에 혼란이 빚어졌다는 것이다.

이 사무관은 “병원별로 전화로 요청하는 경우도 있고, 내부 시스템으로 문의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 보니 일명 ‘응급실 뺑뺑이’ 사건도 어떤 연유로 발생한 건지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다”며 “복지부에서 이를 개선하고자 의사소통 체계 관리 관련 협의체를 마련, 전문가들 의견을 취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병원 내 최종 치료가 가능한 의료 인력이 부족한 것도 문제인데, 복지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병원 응급실 지정 기준을 세부적으로 정리 중인 단계라고도 말했다. 예컨대 특정 뇌수술 및 심장 수술이 가능한 의료기관만 권역센터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구축해 모니터링 및 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다른 병원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전원조정센터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이 사무관은 이 정책들의 핵심이 의료진 보호라고 말했다. 의료진의 법적 책임 문제를 해소하고, 보상 역시 적절하게 강화하며, 근무 여건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는 별개로 응급실 이용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캠페인도 진행 중이라며, 국민들에게 협조를 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