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증 배뇨장애 노인 환자 대부분 기저귀 의존…자가도뇨 교육 및 정책 지원 필요
소아비뇨의학과 전문의 1명당 환자 28만명 감당 현실…인력 감소 막아야

대한비뇨의학회는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보고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노인 의료 및 소아 진료 위기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한비뇨의학회는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보고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노인 의료 및 소아 진료 위기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메디칼업저버 배다현 기자] 국내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존엄성을 지키는데 필수적인 배뇨관리에 대한 국민 인식과 정부 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소아비뇨기질환 전문의 감소로 전문적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들이 위험에 놓이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해결책 모색이 요구된다.

대한비뇨의학회는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보고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학회는 이 자리에서 노인 의료 및 소아 진료대란이라는 양대 위기 현실을 알리고 정부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노인 환자 자가도뇨 위한 전문가 교육 시급"

대한비뇨의학회 한준현 보험이사
대한비뇨의학회 한준현 보험이사

이날 학회 한준현 보험이사는 중증 배뇨장애 노인 환자의 존엄을 위해 배뇨관리가 필수적이나, 이에 대한 국민과 정부의 인식이 낮은 현실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2017년 경인지역 13개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요양병원 중증 배뇨장애 환자 중 7% 정도만 비뇨의학과에 의뢰돼 진료받고 있으며 83%는 전문적 진료나 처방 없이 관리되고 있다.

이에 요로감염, 요폐, 신부전, 요로결석 등 비뇨기계 합병증 발생률은 20.2%, 욕창 및 피부염 발생률도 18.8%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중증 배뇨장애 환자 관리의 기본은 방광의 잔뇨를 줄이는 것으로, 약물치료와 간헐적 자가 도뇨가 주요 관리 방안이 돼야 한다. 환자 상황에 따라 요도유치방광카테터, 상치골방광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해 관리하는 방안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환자의 약 54%에서 80%까지가 보조 관리 수단인 기저귀와 패드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상태다. 

2014년 독일 6개 병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75%의 환자는 자가 도뇨법을 사용하고, 5.1%가 상치골방광카테터, 1.7%가 요도카테터를 사용하고 있어 국내와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저귀, 기저귀형 팬티, 콘돔카테터 등은 약 30% 자가 도뇨를 하면서 보조적으로 사용하는데 그쳤다.

한준현 보험이사는 "최근 요양병원에서 환자 기저귀를 벗기자 성기에 비닐봉지가 묶여 있어 화제가 됐다"며 "노인을 돌보는데 어떤 자원이 얼마나 소요되는지에 대한 인식이 없고,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도 이런 부분을 잘 모르고 묵과하고 있어 벌어지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자가 도뇨가 어려운 노인은 필요 시 배뇨를 위해 방광카테터 유치와 전문적 관리가 필요하다. 국제적으로도 요도 카테터, 비닐 카테터에 대한 시행 가이드라인이 있다"며 "요양 보호사들이 이런 것들을 구하기 어려워 비닐 등을 쓰는 일이 발생한다. 이들이 관리를 잘 할 수 있게 전문가 집단에 의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자가 도뇨를 주요 방광 비우기 수단으로 사용하려면 환자, 보호자, 환자 돌봄인력에 대한 반복적 교육이 필수적이다. 이에 대한비뇨의학회에서는 당뇨 교육과 마찬가지로 자가 도뇨 교육료 책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준현 보험이사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떨어지는 노인 환자들은 자가 도뇨가 어렵다"며 "환자 상태별, 상황별 맞춤 교육을 위해 전문가 집단이 교육할 수 있도록 자가 도뇨 교육료 신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부분이 비뇨의학과의 필수 의료"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노인배뇨감염 안전센터 설립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상치골방광카테터 삽입술, 교환술 및 경요도 수술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가산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소아비뇨기전문의는 국민 생식력 유지 위한 중요 인력"

대한소아비뇨의학회 김성철 홍보이사

대한소아비뇨의학회 김성철 홍보이사는 소아비뇨의학과 전문의 유지를 위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아 인구 감소는 현재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소아청소년과 뿐만이 아닌 소아와 관련된 모든 진료과의 문제로 이어진다. 

김성철 홍보이사는 "비뇨의학과에서 소아를 보면 안 되냐고 생각하시겠지만 소아는 증상 표현이 불가능하고 치료 기준이 하나로 결정되는 성인과 달리 상황에 따라 치료 기준이 달라진다"며 "질환 특성도 급격히 변화해 성인 비뇨기를 보는 분이 소아 비뇨기를 보기 상당히 어렵다"고 설명했다. 

최근 고령의 산모가 늘어나면서 선천성 비뇨기 질환의 발생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소아 비뇨기 질환 전문의 필요성도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현재 소아비뇨기전문의는 전국에 29명으로, 전문의 1명당 28만명을 감당해야 해 그 수가 매우 부족하다. 5년 후에는 더 줄어 23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분포의 불균형도 심해 전체 29명 중 서울과 경기도에 각각 11명(38%)씩 분포하고 있으며, 두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진료가 어렵다. 서울에 있는 전문의를 찾아와 진료를 받기 위해 2~3달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김성철 홍보이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4가지 해결책을 제시했다. ▲병원마다 소아비뇨기질환 진료 전문의 지정 및 정부 지원 ▲소아비뇨기 질환에 대한 대국민 캠페인과 소아청소년과 교육 지원 ▲진료 및 전문 수술에 대한 수가 인상 ▲향후 출산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식기능 보존 관련 중요 질환의 수가 인상이다. 

특히 잘못된 판단으로 환자들이 생식기능과 신장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부모 대상 교육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잠복 고환은 1세 이전 수술이 권고되지만, 기다리면 좋아진다는 잘못된 인식에 수술이 늦어져 결국 고환 절제술을 받는 케이스가 발생하고 있다. 고환염전 역시 8시간 내에 치료를 받아야 하나 이를 알지 못해 고환이 소실되기도 한다. 

김성철 홍보이사는 "복강 내 잠복고환은 잠복고환 중 가장 심한 타입으로 생식기능 유지를 위한 전문적인 수술이 매우 중요하나, 상급종합병원이 아닌 곳에서 수술이 늘고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며 관련 질환의 수가 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소아비뇨기전문의는 출산율이 감소하는 현 시점에 국민의 생식력 유지를 위한 중요한 인력"이라며 "외생식기 기형과 요로계 기형 등을 전문으로 다루는 전문 인력이 줄어들지 않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