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알 서정숙·서영석 의원, 의약 협력 다제약물관리 토론회 개최
국내 고령환자 70.2%가 다제약물 복용…의약 협력 관리 필요해
공단, 실무협의체 마련 약속…복지부는 ‘직역 갈등’ 우려

국민의힘 서정숙·백종헌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이용빈·서영석·최혜영 의원은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방문을 통한 지역사회 다제약물관리의 의·약 협력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민의힘 서정숙·백종헌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이용빈·서영석·최혜영 의원은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방문을 통한 지역사회 다제약물관리의 의·약 협력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정확한 약의 성분도 모른 채 다제약물을 복용하는 고령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을 관리하려면 의사와 약사가 함께 방문진료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기존에 지자체에서 해온 사업들은 약사만 단독으로 방문해 처방 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서정숙·백종헌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이용빈·서영석·최혜영 의원은 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방문을 통한 지역사회 다제약물관리의 의·약 협력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2021년 기준 국내 고령환자 가운데 3개월 이상 5개가 넘는 의약품을 만성복용하는 비율은 70.2%다. 이는 OECD 평균 46.7%보다 높은 수치다.

특히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에 빠르게 진입하는 만큼 다제약물 관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시급하다.

연세의대 김광준 교수(노년내과
연세의대 김광준 교수(노년내과

연세의대 김광준 교수(노년내과)는 노인증후군에 대해 소개했다. 각 질환별로 증상이 나타나는 청년층과 달리 노인은 인지 기능 저하와 낙상, 요실금, 우울 등 여러 질환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또 만성질환자가 많은 만큼 일반인과 약동학이 달라 다약제복용 시 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런 특성을 고려할 때 노인에게는 포괄검사가 시행돼야 한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또 약제 복용력을 세밀하게 평가하는 한편, 노인전문약사제도 도입도 고려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다제약물 관리 방안으로 의약이 협업하는 방식의 방문진료를 가장 먼저 꼽았다. 이는 가천약대 장선미 교수도 마찬가지였다.

가천약대 장선미 교수
가천약대 장선미 교수

이들이 방문진료를 거듭 강조하는 이유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가 병원에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과 2020년 기준 1인 독거 노인가구(19.8%), 3개 이상의 만성질환 보유 비율(27.8%)의 지속적 상승에 따른 것이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18년부터 약사와 간호사가 함께 고령환자 가정으로 방문하는 내용의 다제약물 관리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복용법과 보관법 교육, 처방의약품 등에 대한 종합점 점검이 주요 내용이다.

그 결과 복약불순응과 의약품 중복 사용 등이 크게 개선됐으나, 의사와의 연계가 부족한 점이 한계로 지적됐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장 교수는 △의사·약사·환자 모두 정보 교류가 가능한 플랫폼 구축 △중소도시 중심으로 ‘퇴원 이행기 복약관리’ 프로그램 확산 필요 △자발적인 의약협력체 적극 지원, 모형에도 자율성 부여 등을 꼽았다.

 

공단, 병원 지속 확대·실무협의체 마련
처방 조정 가이드 라인 연구 실시 약속

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질환관리실 박지영 실장
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질환관리실 박지영 실장

2018년 공단이 ‘올바른 약물이용 지원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다제약물 관리사업이 병원모형을 도입한 것은 2020년이다. 당시 98개 지역 약사회와 7개 병원이 참여했다.

2021년 공단은 병원모형 선정평가를 도입해 참여병원을 35개소로 확대했으며, 2022년에는 약사와 의원 모형을 지역사회 모형으로 통합해 약사와 의사 간 협업 방안을 모색하고 나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UR 서비스와의 차이에 관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질환관리실 박지영 실장은 “DUR 서비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사전 점검 알람 서비스이고, 다제약물 관리사업은 복욕양 검토 및 평가 조정을 위해 환자, 의사, 약사가 참여하는 다학제 사후 관리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해당 사업은 최근 5년간 지역사회 1만 2331명과 병원 4859명, 장기요양시설 935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병원모형의 경우 처방조정률 30.7%·서비스 제공 1개월 후 응급실 방문 위험 47% 감소의 효과를 거뒀으며, 지역사회모형에서는 서비스 제공 3개월 후 응급실 이용횟수 23%가 감소했다.

공단은 서비스 질을 강화하기 위해 병원모형은 참여 병원 지속 확대와 실무협의체를 통한 사업 개선을 실시하며, 지역사회모형에서는 현장 적용 가능한 의·약사 협업모형과 시범운영을 통해 적용지역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상담 결과를 의·약사가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을 마련하고,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을 통해 처방 조정 가이드라인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복지부 “의사-약사 갈등 더 심해질 수도” 우려

도봉구의사회 김성욱 회장은 “단독으로 나간 약사들이 처방을 못하다 보니 어려움을 겪는다. 의사들은 처방이 가능하다. 거기서 두 직역 간 동일한 목적이 드러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사회와 약사회, 공단이 협력하는 모델을 제시하며 △자유방임형 의료체계 개편 △개원의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시범사업으로 확대 △경제적 이득에 대한 숙고 △방문 시간의 유연성 △Headquarter center&Care coordinator를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 하태길 과장은 “약사회 전문성도 높일 수 있고 보건 의료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사업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의사와 약사 간 직역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를 드러냈다. 의사와 약사의 방문진료가 의약분업과 연관돼있다는 설명이다.

또 이러한 사업은 환자 인적정보가 다뤄질 수밖에 없다며, 향후 정보 보안을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 과장은 “이 부분에 대해 저희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니 발전적으로 해소해야 하는 지점이 있다”며 “시범사업 단계에서 국가 정책으로 채택이 될 수 있도록 중장기적으로 꼼꼼하게 협의하고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