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정복 가능할까? ‘도나네맙 vs 레카네맙’
아두헬름 개량한 레카네맙, 아두헬름 대비 우세 평가
도나네맙, 아두헬름 대비 유효성 입증...신속승인 절차 통해 심사 진행 중

이미지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2023년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치료제가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 도전에 나서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바이오젠과 에자이는 지난해 미국 내 허가받은 아두헬름(성분명 아두카누맙)의 효능·부작용 이슈를 딛고 레카네맙으로 내년 새롭게 FDA 허가 도전에 나섰다. 레카네맙을 바짝 뒤쫓고 있는 릴리도 같은 아밀로이드 베타 기전인 도나네맙을 통해 내년 FDA 허가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또 알츠하이츠병 이외에도 급성 편두통 비강 스프레이 제제 자베게판트와 뒤센 근이양증 치료제 SRP-9001이 내년 FDA 승인을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유한양행 렉라자(레이저티닙)가 내년 초 비소세포폐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1차 치료 사용으로 국내 허가 변경 이후 본격 FDA 허가 도전에 나선다고 밝히면서, 롤론티스(에플라페그라스팀) 이후에 국산 신약이 FDA 허가를 받을 수 있을 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정복 가능할까? ‘도나네맙 vs 레카네맙’
② 희비 엇갈린 국내 기업 개발 항암제, '렉라자'와 '포지오티닙'
③ '등장 임박' 뿌리는 편두통 치료제 ‘자베게판트’, 희귀근육질환 신약 ‘SRP-9001’

 

아두헬름 효능 논란 딛고 레카네맙으로 재도전 나서는 바이오젠과 에자이 

치매 치료제를 다수 개발한 에자이는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과 손잡고 알츠하이머 관련 약물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그 중 아두헬름은 허가 당시 효능이 미진하고 뇌부종 부작용이 생기는 등 논란이 빚어졌음에도 유효성이 인정돼 FDA 허가까지 획득했다. 효능 및 부작용 논란을 겪은 아두헬름도 FDA 승인을 받은 만큼, 아두헬름보다 임상 데이터가 우수하면 FDA 승인도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바이오젠과 에자이는 아두헬름을 개량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카네맙에 대한 추가 연구 결과를 지난해 12월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알츠하이머임상학회 연례학술대회(CTAD 2022)에서 발표했다. 레카네맙이 치매임상평가척도박스총점(CDR-SB), 인지평가척도 점수(ADAS-cog14) 등에서 위약군 대비 개선됐다는 내용이 골자다. 

레카네맙은 임상 시험 중 환자 2명이 뇌출혈로 사망하는 등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지만, 개발사인 에자이는 최근 사망자 2명이 동반질환과 항응고제 투약을 포함한 위험요인이 있었다며, 사용 가능한 안전성 정보를 토대로 레카네맙이 전체 또는 특정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 증가와 연관되지 않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레카네맙은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지만, 이미 허가 받은 아두헬름보다도 안전성, 유효성 측면에서 우세하다고 평가돼 FDA 승인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레카네맙의 가속 승인 여부는 1월 6일 공개될 예정이다.

 

도나네맙, 아두헬름 대비 유효성 입증 올해 상반기 허가 여부 판가름

도나네맙을 통해 레카네맙을 뒤쫓고 있는 릴리는 이번 CTAD 2022에서 아두헬름과 직접 비교 임상 결과를 내놨다. 도나네맙은 N3pG라는 변형된 베타 아밀로이드(βA)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다.

앞서 릴리는 임상2상에서 1차 목표점인 통합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iADRS)가 위약군보다 32% 감소해 효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를 살펴보면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3상에서 도나네맙 치료군 중 약 38%가 기준 이하의 아밀로이드 플라크 수치를 기록했다.

투약 6개월 후 뇌 내 아밀로이드 감소를 평가한 2차 목표점에서도 도나네맙은 기준치보다 65.2% 감소했다. 뇌 영상 비정상 소견(ARIA) 등 이상반응 비율은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릴리는 12개월, 18개월 차에 추가로 투약 결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FDA는 현재 도나네맙을 대상으로 신속승인 절차를 적용해 현재 심사를 진행 중에 있다. 이르면 올해 초 심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로슈가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간테네루맙은 효능 입증에 실패했다. 로슈가 CTAD 2022에서 공개한 세부 임상 결과에 따르면, 간테네루맙은 1차 목표점인 CDR-SB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분석 결과, 간테네루맙군 등록 당시 대비 116주째 CDR-SB는 GRADUATE I에서 0.31(P=0.0954), II에서 0.19(P=0.2998) 감소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로슈는 간테네루맙과 크레네주맙 임상이 모두 실패로 돌아가며, 알츠하이어병 신약 개발에 연속 실패를 맛보게 됐다.

시판 중인 아두헬름을 포함해 임상 중인 레카네맙, 도나네맙, 간테네루맙은 모두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타깃하는 물질이다. 

같은 아밀로이드 베타 기전 치료제의 임상 결과가 엇갈리게 나오면서 논문 조작 이슈 등이 있었던 기전에 대한 유효성 의구심은 여전히 남아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