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소통TFT 이사(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소통TFT 이사
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소통TFT 이사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현재 비급여로 진행되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당뇨병 교육 상담료를 비급여로 남겨두고, 디테일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내년부터 일차의료 만성질환 관리 본 사업이 시작되면서 당뇨병 환자의 교육 상담 사업도 본 궤도에 오를 예정이다.

이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교육 상담료도 급여화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소통TFT 이사(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는 현재 비급여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 이사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당뇨병 환자 교육 상담료 급여화에 조심스러워하는 이유에 대해 들어봤다.

-대부분 전문가가 당뇨병 환자 교육 상담료 급여화를 주장하고 있다. 결이 다른 의견을 내는 이유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당뇨병 교육 상담료가 급여화되면 이후 진행될 그림이 뻔하기 때문이다. 당뇨병 상담 교육료를 전국 조사해본 결과, 대학병원 5만원(1회) 정도, 병원급은 약 2~3만원이었다.

지금까지 정부가 비급여를 급여화할 때 했던 패턴을 보자. 시장에서 형성된 비급여 가격의 훨씬 못 미치는 수치로 수가를 책정해왔다. 정부가 당뇨병 교육 상담료 급여화에 다른 논리를 쓸 리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걱정하는 것이다.

결국 제대로된 교육 상담료 수가를 받지 못할 것이고, 병원은 간호사 1명과 영양사 1명 정도를 채용할 것이다. 급여화되면 당뇨병 환자들의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교육 상담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해 환자들이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그래서 대학병원 교육 상담료는 비급여를 유지하면서 디테일을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 임신성당뇨병 환자도 비급여로 교육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문제를 지혜롭게 풀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정부가 자기 역할을 하면 된다. 정부가 보건소 등에 당뇨병 교육센터를 만들고, 센터에 양질의 교육과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간호사와 영양사 등을 배치하면 된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당뇨병을 진단받는 환자가 발생하면 담당 의사가 환자를 센터에 보내 교육을 받도록 하면 문제는 의외로 간단하다.

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소통TFT이사
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소통TFT이사

-당뇨병 환자 교육이 비교적 잘 짜여진 미국 메디케어는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미국 메디케어에서는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에게 9시간 집단교육과 1시간 개인교육 등 총 10시간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다. 그다음 해부터는 2시간씩 교육받게 하고 있다.

이때 정부가 교육비 80%를 보조한다. 또 당뇨병을 진단받았을 때 3시간 영양교육을 받고, 매년 2시간씩 교육을 제공한다.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정부가 나서서 환자의 교육과 상담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 입원한 당뇨병 환자 관리도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 약 15~20% 정도가 당뇨병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의료진도 병원도 환자들의 혈당 관리에는 여력도 없고 관심도 없다. 

만일 병원에서 의사나 영양사,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팀으로 운영되는 건강당뇨관리실(혈당관리팀)을 운영하면 환자 예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 메디케어는 입원한 환자의 혈당이 300 이상이거나 40 미만인 상황이 발생하면 병원 평가 지표에 반영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대한내분비학회에서 상급종합병원 평가 지표에 당뇨병 관리실 등을 평가지표로 제시한 적이 있다. 하지만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입원 환자의 당뇨병 관리도 관심을 갖고 반드시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