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의사 3인 솔직 토크쇼] 내분비내과 김신곤·김대중·노정현 교수
김신곤 교수 "누군가의 인생을 동행한다는 점에서 매력 느껴"
김대중 교수 "의사로서 무기력함을 느꼈을 때 만난 내분비내과"
노정현 교수 "은사님 칭찬으로 내분비내과 선택…인생 터닝포인트 되어 준 귀인"

▲메디칼업저버는 창간 21주년을 맞아 당뇨병 의사 3인의 솔직한 인생 이야기를 들어보는 토크쇼를 진행했다. (좌부터) 아주대병원 김대중 교수,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 인제대 일산백병원 노정현 교수. ⓒ메디칼업저버
▲메디칼업저버는 창간 21주년을 맞아 당뇨병 의사 3인의 솔직한 인생 이야기를 들어보는 토크쇼를 진행했다. (좌부터) 아주대병원 김대중 교수,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 인제대 일산백병원 노정현 교수. ⓒ메디칼업저버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당뇨병 환자를 진료하는 내분비내과 의사들은 오늘도 힘들다. 병원을 찾는 수많은 당뇨병 환자를 정해진 시간에 보느라 하루가 짧다. 주기적으로 외래에 오는 환자가 혈당을 잘 관리해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진심 어린 조언을 해줘야 한다. 

환자가 웃을 수 있는 이야기만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 내분비내과 의사는 "운동하고 식단 조절하고 당뇨약도 잘 먹어야 합니다"라며 잔소리꾼을 자처한다. 당뇨병은 평생 관리해야 하니 환자가 싫어해도 꼭 해야 한다. 

그럼에도 내분비내과 의사들은 오늘도 행복하다. "혈당이 좋아졌어요. 환자분 관리 잘하고 있네요"라는 한마디에 함박웃음을 짓는 환자를 보며 보람을 느낀다. 환자를 오랫동안 자주 만나다 보니 가까운 지인이 여럿 생긴 것 같기도 하다. 

당뇨병 환자의 최적 혈당 관리를 위해 평생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면서도 환자가 걸어가는 길을 함께 걷는 동행자가 될 수 있어 행복하다.

그래서 내분비내과 의사들은 당뇨병 환자를 위해 그리고 나를 위해 오늘도 달린다. 진료뿐 아니라 미래 당뇨병 치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는다. 

본지는 창간 21주년을 맞아 당뇨병 환자와 행복한 동행을 꿈꾸는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내분비내과), 아주대병원 김대중 교수(내분비대사내과), 인제대 일산백병원 노정현 교수(내분비대사내과)를 만나 솔직한 인생 이야기를 들어봤다. 

[창간 21주년-①] 다시 태어나도 내 선택은 '내분비내과' 의사

[창간 21주년-②] 교과서 벗어나 당뇨병 환자 마음 속으로

[창간 21주년-③] 좋은 내분비내과 임상의·연구자·교육자를 꿈꾼다

- 당뇨병을 진료하는 내분비내과를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

노정현 교수(이하 정현): 처음부터 내분비내과 의사가 꿈은 아니었다. 사실 안과를 지원했다 떨어져 내과를 선택했다. 그래서 내과 전공의 1년차를 위축된 상태로 보냈다. 

그런데 은사인 경희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성운 교수님이 주변 사람들에게 밑도 끝도 없이 날 칭찬해줬다. 그러면서 나에게 꼭 내분비내과 의사가 되라며 자존감을 높여줬다. 이것이 내분비내과 의사 길을 선택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됐다. 

김성운 교수님이 없었다면 나는 계속 자존감 낮은 의사로 지냈을 것이다. 김성운 교수님은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되어 준 귀인이다. 

김대중 교수(이하 대중): 개인적 경험 때문에 내분비내과를 택하게 됐다. 내과 전공의 1년차에 아버지가 위암을 진단받고 돌아가셨다. 당시 의사로서 무기력함을 느껴 암을 보지 않는 과를 선택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렇게 찾다 보니 깊게 파고들어 연구하는 내분비내과가 나와 맞다고 생각했다. 끊임없는 중압감을 느끼며 내분비질환 연구를 해야 하지만 집요하게 파고들어 해냈을 때 성취감을 얻었다. 내분비내과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진료과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내분비내과). ⓒ메디칼업저버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내분비내과). ⓒ메디칼업저버

김신곤 교수(이하 신곤): 의대생 때 고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최동섭 교수님이 파격적인 시험문제를 제출했다. 환자 사례를 제시하며 어떤 진단이 의심되는지 찾으라는 100% 주관식 문제였다. 

당시 100여 명이 재시험을 봤는데,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았던 내가 재시험을 보지 않았다. 그래서 의대생 때부터 내과가 나와 잘 맞는다고 생각했다. 

내분비내과 의사는 단판 승부가 아닌, 누군가의 인생을 동행하는 직업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이런 기질이 나와 잘 맞다. 

▲아주대병원 김대중 교수(내분비대사내과). ⓒ메디칼업저버
▲아주대병원 김대중 교수(내분비대사내과). ⓒ메디칼업저버

- '이런 의사가 되어야겠다'는 신념이 있나?

대중: 이기적인 사람이 되지 말자는 것을 철칙으로 삼고 있다. 본인이 뛰어나도 겸손하고 베풀 줄 알아야 한다. 

그런데 대학에서 일하다 보면 본인이 잘났기 때문에 모든 것을 성취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모든 사회가 그렇듯 이런 사람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신곤: 마이클 샌델이 쓴 '공정하다는 착각'이란 책에서 전하는 메시지를 이야기하고 싶다. 대학교수가 됐다면 이를 온전히 본인 능력으로만 성취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물론 능력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대학교수 자리에 올랐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본인을 끌어주거나 도움을 준 사람들이 있고 좋은 시기를 만난 덕분에 가능한 결과다. 본인이 거둔 성과는 노력에 더해 시대적 상황과 수많은 사람의 도움으로 만들어졌으므로, 본인 역시 많은 사람을 돕는 사람이 돼야 한다는 것이 메시지다. 100% 동의한다. 

▲인제대 일산백병원 노정현 교수(내분비대사내과). ⓒ메디칼업저버
▲인제대 일산백병원 노정현 교수(내분비대사내과). ⓒ메디칼업저버

정현: 누군가에게 화풀이하는 의사가 되지 않는 것이다. 병원에서 근무하다 보면 힘든 상황에 많이 부딪힌다. 그래서 은연중 후배나 동료에게 감정을 푸는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이때 존경하는 선배들이 평정심을 찾는 모습을 자주 본다. 나도 화풀이하지 않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