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USPSTF, 2018년 이어 '심방세동 선별검사' 최종 성명 발표
심전도·스마트워치·맥박측정 등 선별검사 근거 검토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스마트워치, 피트니스 트래커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심방세동을 찾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에서는 웨어러블 기기 활용을 포함한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50세 이상 무증상 성인에게 권고할 수 없다는 성명이 발표됐다. 

미국질병예방서비스테스크포스(USPSTF)는 심방세동이 진단되지 않았거나 무증상이고 일과성 허혈발작 또는 뇌졸중 병력이 없는 50세 이상에게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권유할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권고안을 공개했다(I statement). 

심방세동 선별검사에는 병원에서 진행하는 심전도 검사(ECG)와 웨어러블 기기 등이 모두 해당된다. 이번 성명은 JAMA 1월 2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심방세동 선별검사 권고 또는 반대 근거 충분하지 않아

이번 권고안은 2018년 근거 불충분을 이유로 65세 이상에게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권유하기 어렵다는 권고안에서 나이를 낮췄고 지난해 5월 발표한 권고안 초안과 일치한다. 

USPSTF는 2018년 권고안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고령에서 심방세동 선별검사의 혜택과 위험 △선별검사 정확도 △일반적인 관리와 비교해 과거에 진단되지 않은 심방세동을 찾기 위한 선별검사의 유효성 △고령에서 선별검사로 찾은 심방세동 환자 치료에 대한 항응고요법 혜택 및 위험 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했다. 

최종적으로 50세 이상의 무증상 성인에서 심방세동 선별검사 혜택과 위험에 대한 균형(balance)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결론 내리며, 근거 불충분을 이유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USPSTF는 권고안 개정 시 심전도 검사에 더해 스마트워치나 스마트폰 앱 등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기, 자동 혈압커프, 맥박측정 등과 같은 추가적인 선별검사에 대한 근거들을 검토했다. 

하지만 심방세동 선별검사 영역을 확대했을지라도 선별검사를 권고 또는 반대해야 하는 충분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 

즉 병원에서 진행한 심전도 검사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무증상인 50세 이상의 중년 및 고령에게 권고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심방세동 선별검사의 혜택을 판단할 수 있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USPSTF는 "의료진은 심방세동을 선별할지 여부와 어떻게 확인할지에 대한 임상적 판단을 내려야 한다"며 "맥박 측정을 일상적 또는 일반 진료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미국 노스웨스턴의대 Philip Greenland 교수는 논평을 통해 "아직 심방세동 선별검사에 대한 많은 질문이 풀리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심방세동 고위험군만 연구에 등록하는 것과 함께 대규모 코호트와 더 긴 모니터링 기간을 가진 연구 등 진행을 고려해야 한다"며 "아울러 장기간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추후 ECG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장기간 순응도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웨어러블 기기를 허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 포함 선별검사에 대한 국내외 권고안은?

국외 심방세동 선별검사 관련 가이드라인을 보면, 2020년 유럽심장학회(ESC) '심방세동 진단 및 관리 가이드라인'에서는 웨어러블 기기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구체적으로 65세 이상에게 맥박측정 또는 심전도 리듬 스트립을 활용한 기회적 선별검사를 권고했다(Class I). 기회적 선별검사란 다른 이유로 진료받는 환자에서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75세 또는 뇌졸중 고위험군에게는 심방세동 선별을 위한 체계적 선별검사를 고려하도록 주문했다(Class II).

이와 함께 기존 표준 12유도 심전도(12-lead ECG)뿐 아니라 심전도 기록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인 단일유도(single-lead) 심전도로도 의사의 판단 아래 심방세동 임상진단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대한부정맥학회도 심방세동 선별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활용에 대해 심방세동 진단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내렸지만 임상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학회가 발표한 '심방세동의 선별검사 및 무증상 심방세동의 관리 지침'에 의하면, 75세 이상이거나 뇌졸중 고위험군에서는 심전도를 통한 체계적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고려하도록 제시했다. 65세 이상에서는 맥박측정이나 심전도 리듬 스트립을 활용한 기회적 선별검사를 추천했다.

이어 다양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기기와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면서 심방세동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임상적 검증 및 사용지침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또 심전도 기록이 가능한 단일유도 심전도 기기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30초 이상 심방세동이 의사에 의해 확인됐다면 심방세동 확진이 가능하다고 했다. 

심방세동 발견이 광혈류측정(PPG)을 이용한 기기 등 심전도에 의한 것이 아닐 경우 또는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확보된 심전도 기록의 해석이 불분명할 경우에는 확진을 위해 12-유도 심전도, 홀터 검사 등 추가 심전도 기록이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대한부정맥학회 최의근 보험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우리나라와 유럽 등 심장학회의 심방세동 선별검사에 대한 입장은 비슷하다. 75세 이상 고령에게 심방세동 선별검사를 추천하고 65~74세는 간헐적으로라도 선별검사를 받거나 맥박을 측정하도록 제시한다"며 "고령은 웨어러블 기기 사용이 쉽지 않으므로 임상에서는 정기적으로 맥박을 측정하거나 혈압계를 사용해 자가검진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검진에 심전도 미포함…'스마트' 모니터링 필요?

우리나라에서는 부정맥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심전도 검사가 비용 대비 효과 부족을 이유로 국가검진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심방세동을 진단받지 못해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의료비가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숨겨진 심방세동 환자를 찾아 치료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최 보험이사는 "우리나라 국가검진에 심전도 검사가 포함되지 않았다. 1년에 1회는 심전도 검사를 받는다면 심방세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수가가 낮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며 "건강검진에 심전도 검사를 포함한다면 의원에서 검사 기계를 구입하고 검사 장소를 마련해야 하며 판독 기사도 고용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면 비용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국가검진에 심전도 검사를 포함하기엔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한부정맥학회는 국가검진에 심전도 검사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스마트 모니터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학회는 맥박측정, 휴대용 심전도 측정 장치 그리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별검사가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라고 가이드라인을 통해 밝혔다. 

최 보험이사는 "시각을 바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심방세동을 감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면서 "단일유도 심전도 기기로 심전도를 모니터링하고, 건강검진 시 측정값을 의료기관에서 판독할 경우 수가를 주는 등의 다각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