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1개 사업 중 신규과제 1425억·계속과제 6453억 지원 계획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내년도 정부 R&D 예산 7878억원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지원 및 치매극복 연구개발, 국가신약개발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2021년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을 담은 2021년 보건복지부 R&D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15일 제2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서 심의, 확정했다.

내년 복지부 주요 R&D 예산은 올해 예산 5278억원 대비 49.3% 늘어난 7878억원이다.

시행계획 대상 사업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지원, 치매극복 연구개발, 재생의료기술개발, 국가신약개발 등 총 61개 사업으로, 신규과제 1425억원, 계속과제 645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주요 R&D 분야별 예산 현황.
주요 R&D 분야별 예산 현황.

복지부는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 보건의료 문제 해결 및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통한 국가주력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공익적 R&D 투자 강화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을 4대 추진전략으로 정하고 2021년 주요 R&D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임상·비임상 단계의 연구지원을 강화하고,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로 국가방역체계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감염병 조사·감시·예방·진단·치료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공백신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시설 건립 및 운영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에 74억이 투입되며,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에 627억,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에 687억원이 지원된다.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에는 139억, 백신 자급화 등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 248억, 병원체 확보 및 특성분석 등 감염병 관리기술개발연구에 240억, 백신연구 기반 확보를 위한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에 136억이 투입된다는 것이다.

바이오헬스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위해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및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한다.

또, 개인별 맟춤 의료, 인공지능을 활용한 임상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데이터 관리·보호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을 적극 지원한다.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개발, 임상, 인허가 및 제품화 등 전 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 친화적 돌봄 서비스 제공과 실생활에 기반한 제품 개발,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의 기술개발 등에도 958억원을 지원한다.

치매, 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분야에 중점 투자해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 도모를 위해 950억원 예산 책정됐다.

병원 중심의 연구 플랫폼 구축과 개방으로 병원을 산학연병이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예산도 98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연구중심병원육성 R&D에 402억, 의료기술상용화지원센터에 170억이 투자된다.

임을기 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은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종 감염병, 치매와 같은 고부담 질환 등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공익적 R&D를 계속 확대할 것"이라며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보건의료 R&D의 성과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정부는 산업계, 학계 등 현장과 활발하게 소통해 R&D 사업을 체계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할 것"이라며 "현장에서 적극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보건의료기술정책위원회에서는 범부처 차원의 제4차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도 보고됐다.

천연물신약은 동식물 등 천연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 만든 의약품으로, 부작용 및 독성이 비교적 적어 약을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만성질환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보고된 촉진계획은 ▴수요자 맞춤 천연물자원 활용 촉진 ▴천연물신약 개발단계의 약한 고리 집중지원 ▴천연물신약 사업화 역량 강화를 3대 추진전략으로 설정했다.

2024년까지 임상진입 5건, 해외 임상진입 3건, 해외 기술이전 3건, 글로벌 천연물 신약 1건 등의 성과를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