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지출한 시설과 장비비 지원하는 '지출비용보전형'과 음압병상 확충하는 '병동형'
중대본, 300병상 확보 및 기관당 40억원 내외 지원 목표…위기 시 병동 전체 음압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박능후 1차장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박능후 1차장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정부가 코로나19(COVID-19) 재유행에 대비해 중증·고위험군 환자 긴급 치료병상 확충 사업을 두 종류로 분류해 추진한다.

고위험군 환자의 적정 치료와 치명률 최소화를 위해 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을 미리 확보하겠다는 방침인 것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4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긴급병상 확충사업 계획 및 지원방안을 설명했다.

코로나19 중증환자 긴급병상 확충 사업은 '지출비용보전형'과 '병동형'으로 구분해 진행된다.

우선, 지출비용보전형은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을 운영한 97개 의료기관이 그동안 설치·운영 과정에서 지출했던 시설과 장비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어 병동형은 앞으로 병동형 음압병상을 확충하는 의료기관에게 시설비와 장비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즉, 지출비용보전형은 이미 긴급치료병상을 운영하기 위해 일정 비용을 지출한 의료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이고, 병동형은 앞으로 긴급병상을 설치할 기관들에 대한 지원인 것.

중대본의 설명에 따르면 병동형의 경우, 기관당 40억 원 내외 지원에 300병상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긴급병상 확충사업 중 '병동형'의 지원 범위 및 우선순위 

특히, 병동형 지원을 받는 의료기관은 긴급음압격리병동(5실·13병상 이상) 또는 긴급음압중환자실(4병상 이상)을 설치해야 한다.

확보된 긴급치료병상은 평상시에는 일반병상으로 운영하고, 감염병 위기상황이 발생했 때는 병동 전체를 음압화해 감염병 환자 진료를 위해 사용하게 된다.

이들 의료기관은 신종 감염병 환자 등 입원요청 시 즉시 대응할 인력확보체계를 갖추고, 10일 이내에는 전체 음압병상의 80%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중대본 박능후 1차장은 "코로나19 환자의 치명률 감소에 있어서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역량 있는 의료기관들에게 많은 참여를 요청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사업을 통해 치료역량이 높은 의료기관의 중증 환자 치료병상을 확충해 감염병전담병원 및 생활치료센터와 함께 종합적인 감염병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2주 일일 평균 23.2명 신규 확진…감당 가능 수준

이날 중대본은 지난 2주간 일일 평균 23.2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며 아직은 현 의료체계 내에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나 연쇄 감염이 반복되고 있는 점은 경계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5월 10일부터 23일까지 2주간의 코로나19 현황을 살펴보면 이태원 클럽 사례 발생 이후 대규모의 유행이 나타나고 있지는 않으나, 전국적으로 산발적인 전파는 계속되고 있다.

신규 확진 환자는 일일 평균 23.2명으로 이전 2주간의 8.7명에 비해 증가했으나, 정부가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인 50명 이하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지역사회로의 확산이 계속됨에 따라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 환자 비율은 6.8%로 상승했고 방역망 내 환자 관리 비율은 80% 미만으로 나타났다.

박능후 1차장은 "지난 2주간의 위험도 평가 결과, 우리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이태원 집단감염으로 인한 연쇄 감염이 반복되고 있어 이 전파 고리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확진자가 방문한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지만 시설 특성상 이용자 파악에 한계가 있는 곳들이 있어 시설명을 정리해 공개하기로 했다"라고 부연했다.

한편, 중대본은 유흥시설 등의 출입자 수기 명부의 허위 작성 및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전자출입명부(QR코드 기반)'를 오는 6월부터 도입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