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단국대·분당차병원, 국내 26만여 노인 환자 대상 치매 발병률 조사연구 결과 발표
심방세동·뇌경색 관계없이 발생 위험도 높아…항응고치료 등 적절한 관리 필요성 강조돼

(왼쪽부터 순서대로) 정보영, 김동민, 양필성 교수.
(왼쪽부터 순서대로) 정보영, 김동민, 양필성 교수.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앞으로 심방세동 노인은 치매 발생도 조심해야 할 듯하다.

국내의료진이 심방세동이 있는 노인의 경우 치매 발생 위험도가 약 1.5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 정보영 교수(심장내과)와 단국대학교병원 김동민 교수(심장혈관내과),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양필성 교수(심장내과) 연구팀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자료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 이 같이 나왔다고 24일 밝혔다.

심방세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로 치매를 발생시킨다는 보고는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는 것이 이번 연구의 계기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특히, 뇌경색이 없는 상태에서 심방세동과 치매와의 연관성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건보공단 노인자료를 통해 60세 이상의 노인환자 26만 2611명을 대상으로 심방세동이 발생한 환자(1만 435명)군과 심방세동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2만 612명)군으로 분류해 치매 발생 위험도를 조사했다. 

두 환자군은 등록 당시 인지기능검사에서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7년 동안 추적·관찰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 중 24.3%인 약 2536명에서 치매가 발생했고 심방세동이 없는 환자에서는 약 3174명(15.4%)에서 치매가 나타났다.

치매 발병 위험도가 1.5배 이상 높았던 것인데, 이런 위험성은 추적기간 중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도 유의하게 나타나 뇌경색과 별도로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한 연구팀이다.

치매의 형태별로는 혈관성 치매의 경우 약 2배, 알츠하이머 치매는 1.3배가량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해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치료가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를 추가로 분석했다.

심방세동 환자 중 항응고치료를 시행한 환자 3092명(29.6%)과 그렇지 않은 환자를 비교한 결과, 항응고제를 복용한 환자에서 모든 치매 발생 위험도가 약 40%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정보영 교수는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의 위험인자인 만큼 적절한 고혈압 관리 등 심방세동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조기 진단을 통한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다"며 "심방세동 환자의 경우 뇌경색뿐만 아니라 치매 예방을 위해 항응고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이어 "심방세동이 치매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큰 규모의 환자군에서 확인한 연구이기 때문에 의미가 크다"며 "노인환자에서 빈번한 심방세동 및 치매에 대한 예방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국민건강임상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국제적 심장질환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23.425)'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