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위한 반대...진짜 피해자인 환자 생각 없어
지금의 투쟁 방식 설득력 없어, 이제 선택해야 할 때

서울대 의대 강희경 교수
서울대 의대 강희경 교수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복귀를 고려하는 의대생들을 두고 동료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비난과 따돌림 등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가운데, 서울대의대 교수들이 이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교수는 17일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 이제는 결정할 때입니다'라는 제목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더 이상 침묵하는 다수에 숨어 동조자가 될 수 없기에 우리의 생각을 이야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들 교수는 "사태 초기, 기존 의료 시스템이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외면했던 스스로가 원망스럽고, 용기를 낸 제자와 후배들이 자랑스러웠으며, 후방에서라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사태가 지속되면서 우리는 여러분께 실망하고, 절망하고 있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이어 "의사 커뮤니티와 의료 관련 기사에 달린 댓글,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대위원장의 SNS 글 속에는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며 "정말 내가 알던 제자·후배들이 맞는지, 이들 중 우리의 제자·후배가 있을까 두려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전공의들과 학생들이 현재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하고 있을뿐더러, 지금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설득력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여러분은 2000명 의대 정원 증가가 해결책이 아니라는 오류를 지적하면서 용기와 현명함을 보였지만,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을 보냈다"며 "오직 탕핑(가만히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과 대안 없는 반대만이 있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진짜 피해자는 사직과 휴학을 스스로 선택한 전공의와 의대생이 아니라 지난 1년 동안 외면당하고 치료받지 못한 환자들과 가족들이라고 강조했다. 

전공의 수련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수련환경이 가혹하고 개선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이 3~5년의 시간이 단순한 노동시간으로 계산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수년간 밤낮없이 연구실에 사는 석·박사 과정의 연구자, 12시간 넘게 서서 일하면서도 고용불안에 떠는 노동자들, 월수입 100만원이 되지 못하는 75%의 자영업자, 그들의 삶이 눈에 보이기는 하느냐"고 소리를 높였다. 

이어 "의사는 한국 사회에서 가장 확실한 경제적 보상을 받는 직군 중 하나인데, 전공의 수련 과정을 '착취'라고 주장하는 것이 과연 사회적 공감을 얻을 수 있겠느냐, 전문가로서 소양을 기르는 과정이 고되고 의미없다고 쉽게 이야기할 거면 대체 왜 개선을 요구하느냐"고 일침했다.

이들은 "의사 면허는 사회가 우리에게 독점적 의료 행위를 할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사회가 의료 분야에서 독점적 구조를 용인하면서도 그 부작용을 감수하는 이유는 면허 이면에 공공성을 요구하는 책임을 다해줄 것을 믿기 때문"이라며 "의사가 사회로부터 신뢰를 잃고 있으며, 잃어버린 신뢰는 더한 규제, 소송, 더 가혹한 환경으로 되돌아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며 "이런 투쟁 방식에 계속 동조할 것인지, 아니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이제는 선택해야 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