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여 명 의대생 제적 시 미래 의료 불가능
교수들 의대생 보호 방안 논의 중...결정에 의협 동참할 것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이 20일 서울 용산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가졌다.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이 20일 서울 용산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가졌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대한의사협회는 의대생이 대규모 제적 등 불이익을 당할 경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투쟁 일선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또 의대생과 전공의 비난 성명을 낸 강희경 등 서울대의대 교수들에게는 어떤 의도의 발언이든 표현과 시점이 잘못됐다며 사과를 요구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20일 서울 용산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현안에 대한 의협의 입장을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의대를 갖고 있는 40개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반려하기로 한 것에 "총장들께 의대생들의 휴학 신청이 불법인지, 개인적 사유로 신청한 휴학을 승인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지 묻고 싶다"며 "제적은 운운하는 것은 학생들을 보호하는 게 아니라 그들을 압박하는 것으로 인식될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갈 수 있도록 조금 더 인내해 줄 것을 요청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대로라면 적어도 1만명이 넘는 의대생들이 제적될 수 있는데, 그 경우 미래의 의료를 장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김 대변인은 "의대생 제적은 작년 전공의 사직과 무게가 다른 문제"라며 "생각조차 하기 어려운 문제지만 현실이 된다면 의협이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앞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와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가 논의하고 있으며, 곧 내용이 발표될 것"이라며 "우선 교수들의 결정과 행동을 지지하고 함께 움직일 생각이다"고 밝혔다. 

강희경 등 서울대 의대 교수 4인의 의대생·전공의 비판 성명도 언급됐다.

김 대변인은 "옳고 그름을 떠나 충정에서 우러난 충고로 이해하고 있으나, 발언의 적절한 때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며 "의도가 어찌됐든 표현이 과했다면 사과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SNS에서 실명을 거론하며 해당 교수들을 저격한 의협 박단 부회장에게도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며 박 부회장 역시 공적 책임의 무게를 느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전날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2차 의료개혁안을 발표하며 의대생을 포함한 청년 의사들이 꿈꾸는 의료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며 "아이러니하게도 청년들이 개혁을 거부하고 자리를 떠나고 있다. 개혁의 진통을 감당하는 직접 대상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