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이후 의대 총정원 의료계와 합의해 구성한 추계위서 결정해야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이하 의교협)가 2026학년도 의대정원을 3058명으로 재설정해야 한다고 정부와 정치권을 압박하고 나섰다.

의교협은 3일 성명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정책에 따른 대규모 학생 휴학과 의대 학사운영의 대혼란으로 인한 의학교육 시스템 붕괴에 대해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다.

의교협은 2025년 1학기에도 학생 복귀가 되지 않고 2학기 이후로 늦어질 경우, 2년째 의사 배출이 불가능해진다며, 2026학년도 1학년 학생 수는 1만 2000명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불가능해지고, 의사 양성이 지연돼 졸업 후 의학교육인 전공의 수련에도 2년의 공백이 생겨 군의관, 공보의 수급 등 연쇄적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교협은 "국민 의료의 질 유지에 매우 심각한 상황이며 이미 의료현장에서는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며 "학생 복귀와 학사 정상화가 조속히 이뤄져야 하며, 추락하고 잇는 한국의료를 제자리로 돌리기 위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정부의 전향적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앞서 지난 2월 11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전국 의과대학 학원장회의에서 2025학년 학사 정상화 방안을 의결했으며, 이를 교육부와 복지부에 전달한 바 있다.

의교협은 "2026년 의과대학 정원은 2024년 정원인 3058명으로 재설정돼야 한다"며 "2027년 이후 의대 총정원은 의료계와 합의해 구성한 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학교육의 질을 유지 및 향상하기 위해 의학교육 관련 제도, 행정, 재정에 대한 교육부의 전폭적인 지원책이 구체화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정부 책임자는 성의있는 결단을 내리고 의과대학 총장협의회는 즉각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