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의학회·전의교협 등 추천 거부 입장 재확인
政, 추천위원 기한 지났지만 물밑에서 위원 추천 지속 요청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지난 18일 의사인력수급추계위원회 위원 추천 기한이 만료된 가운데, 병원계가 위원 2명을 추천하기로 결정하면서 병원계와 의료계 간 균열 조짐이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위원 추천 기한이 지났지만 물밑에서 지속적으로 의료계와 위원 추천을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병원계에 따르면, 최근 대한병원협회와 대한중소병원협회는 의사인력수급추계위원회 위원 2인을 추천하기로 결정했다.

병원협회 A 임원은 "병원계가 많은 고민을 한 결과 위원 2인을 추천하기로 결정했다"며 "현 의료대란 사태의 최대 피해자는 전공의와 의대생이지만, 정부와 의료계 모두 방관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병원계가 위원 2인을 추천한다고 맹목적으로 정부의 뜻에 따르는 것이 아니다"며 "위원회에 들어가서 병원계를 비롯한 공급자의 생각을 전달하고, 정부의 정책 방향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병원계 B 임원은 "의대증원 관련 방향성은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의학회 등 의료계와 동일하다"며 "지금 같은 의료대란 사태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계속 줄다리기만 하고 있을 수 없다. 결국 그 피해는 전공의, 의대생, 국민에게 돌아간다"고 강조했다.

그는 "병원계 위원이 위원회에 참여하지만 병원계를 비롯한 공급자들이 희망하는 방향성으로 정부의 정책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바로 사퇴하고 퇴장할 계획"이라며 "병원계 위원이 참여하는 것은 정부의 의사인력 정책 방향성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병원계의 위원 추천에 의협, 의학회,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교협) 등 의료계 단체는 위원 추천 거부 방침을 재확인했다.

특히 병원계 인사들이 위원으로 참여했지만 대표성이 없어 위원회 구성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입장이다.

의학회 관계자는 "그동안 병원계와 의료계는 입장 차이가 있었다"며 "병원계에서 위원을 추천하는 것이 놀랍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병원계가 위원을 추천하더라도 공급자 단체의 대표성을 갖지 못한다"며 "의사인력수급추계 대상은 의대생과 전공의들이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위원회 구성을 위한 위원 추천을 의료계에 요청하기 위해 선결조건이 해결돼야 한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2025학년도 의대증원 철회와 의대정원 증원 원점 재논의를 해결하지 않고는 의료계가 위원을 추천할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한편, 복지부는 18일 위원 추천 기간이 만료됐지만 위원 추천 기간 연장 또는 만료를 두고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 의학회, 전의교협 등에 물밑에서 지속적으로 위원 추천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의사수급추계위원회 위원 추천 건을 두고 병원계와 의료계 간 입장 차이를 보여 향후 의대정원 문제 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