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지정
평년보다 많은 4000개소 이상의 당직 병의원 운영하고 의료진 인센티브 강화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정부가 추석 명절 전후인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을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지정하고 응급의료에 대한 집중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
특히 평년 명절 연휴보다 많은 4000개소 이상의 당직 병·의원을 운영하고, 응급 진찰료 한시 가산을 112개 응급의료시설에도 확대한다.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은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러한 입장을 발표했다.
앞서 간호사와 의료기사가 속한 보건의료노조가 파업을 예고한 점을 두고 “파업이 현실화돼더라도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지자체와 실시간 모니터링 보고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공공의료기관의 평일 진료시간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추석명절 전후인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을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석명절 연휴에는 평년 명졀 연휴보다 많은 4000개소 이상의 당직 병의원을 운영하고, 병군병원과 공공의료기관, 특성화병원 별 비상진료체계를 집중 운영한다.
또 기존 408개 응급의료기관에만 적용되던 응급 진찰료 한시 가산을 112개 응급의료시설에도 확대하고, 연휴 기관 문 여는 병의원과 160여개 코로나19(COVID-19) 협력병원 및 발열 클리닉, 약국 등을 적극 홍보한다.
아울러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기존 인상분인 150%에서 추가 인상해 현장 의료진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한다.
인센티브도 대폭 확대해 신속한 입원과 전원이 이뤄지도록 하고, 중증환자의 집중 관리를 위해 권역센터와 지역센터 일부를 지정해 중증응급환자만 진료하는 중증 전담 응급실을 29개 권역별로 최소 1개소 이상 한시 운영한다.
또 경증환자의 응급실 본인부담금 인상도 9월 중 시행한다.
특히 정부는 의료개혁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다시 한번 강조하기도 했다.
조 장관은 “지금 어렵다고 의료개혁을 포기하면 미래에는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의료 정상화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간호법 복지위 통과...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합의 처리될 듯
- 의협, 간호법 강력 반대 “정부 땜질식 처방 멈춰라”
- 의료개혁 예산 20조원 ↑…필수과목 전공의 月100만 원 수당 지급
- 의협회장, 의대증원·간호법 저지 단식 투쟁 돌입
- 국민건강·건보재정 위협하는 개별 의료 서비스…통합 돌봄 절실
- 경증 환자 본인부담률 인상, 응급의료 정상화 위한 근본 대책 아냐
- 응급의학회 "추석 명절 응급의료 지원 확대, 긍정적"
- 政 “응급의료 붕괴설, 국민 불안 증폭…의료진 집중 지원할 것”
- 추석 연휴 코앞인데 응급실 의료공백 비상…의협 내부 분열까지
- 복지부, 상종 및 종합병원장들과 응급의료 대책 논의
- 경증환자 본인부담률 인상, 의료 격차만 부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