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성균관의대 교수 비대위 전체교수 회의 진행
비대위 "절반 이상의 교수, 휴진 지지…국민·환자 불편과 불안감 고려 휴진 유예"
"환자 곁에서 국민 건강 수호 최선…함께 의료붕괴하는 정부 질책해달라"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성균관의대 교수들도 휴진을 잠정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비대위 주관 전체교수 회의 결과를 공개했다.
과반이 넘는 성균관의대 교수들은 휴진에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환자와 국민의 불편과 불안감을 고려해 휴진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비대위는 "교수 설문조사 응답 결과, 절반 이상의 충분한 휴진 지지가 있었음에도 환자와 국민을 위한 고뇌 끝에 휴진 일시를 유예하기로 결정했다"며 "만약, 전공의와 학생, 의대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 등이 일어나면 무기한 휴진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공의, 의대생 관련 행정명령 및 처분 취소 △필수의료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 및 보완 △의대증원 재논의 △의대생 및 전공의 요구안 전면 수용 등 대정부 4대 요구안을 제시했다.
비대위의 이러한 결단으로 휴진은 잠정 보류됐지만, 의료 현장을 지키는 교수들의 과로가 극에 달해 △주 40시간·52시간 근무 준수 △대학 편법적 강의 요청 거부 △주1회 정례 휴진으로 번아웃 예방 및 휴진일 의료정책 토론 △정부 정책 자문 무대응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성균관의대·삼성병원 교수는 동료 의대 교수들과 의료정책의 주체로, 건전한 의료 정책 수립을 위해 연대와 소통 등으로 협력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그랬던 것처럼 항상 환자 곁에서 국민 건강 수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정부가 일으킨 의료붕괴가 코 앞으로 다가온 만큼 국민과 환자분들께서 이를 알아주시고, 강력히 정부를 질책해달라"며 "의료붕괴 위기를 해결할 책임은 정부에 있으며, 정부는 전공의와 의대생의 요구사항을 검토해 올바른 방향으로 선회해달라"고 덧붙였다.
- 복지부 “의협 일원화 환영…올특위 구성 후 대화 희망”
- 의료계 무기한 휴진, 잠정 보류…올특위 2차 회의서 결정
- 올특위 "내년도 의대증원 포함하면 의정협의 참여할 것"
- 환자단체, 7월 4일 의사 집단휴진 철회 대규모 집회 개최
- 서울대병원 전면 휴진 철회 ... 환자 피해 그대로 둘 수 없어
- 의협, 별도 대책위 출범…22일 첫 회의에서 대응 방안 논의
- 휴진 동력 잃고 고민에 빠진 의료계…29일 의협 결정은
- 박민수-임현택, 국회 청문회서 만났다…박단 불참
- 의료공백은 복지부 때문이라는 의협…박민수 차관 “진료거부 부당”
- 조규홍 장관 “의대 증원 2000명, 내가 결정…대통령 개입 無”
- 민주당 “국민의힘, 의료계 비상상황 청문회 ‘빈손’으로 만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