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의협 여의도 공원서 전국의사총궐기대회 개최
임현택 회장 "정부, 의료정책 강행하면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의료계의 목소리를 무시한 채 정부가 의료 정책을 강행하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다.
대한의사협회는 18일 여의도 공원 앞에서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대회에는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회장을 비롯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김창수 회장,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비상대책위원회 안석균 위원장, 대한의학회 박형욱 부회장 등 약 4만 명(의협 추산)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임현택 회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임 회장은 대회사에서 "폭압적인 정부가 전공의를 포함한 의사를 전문가로서 대우할 때까지 싸우겠다"며 "제가 앞장서겠으니 함께 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김교웅 대의원회 의장도 격려사를 통해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했다.
김 의장은 "이제는 의대생, 전공의, 교수님, 개원의, 봉직의 모두가 같은 길을 가야 한다"며 "함께하면 의료 정상화와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뭉치면 한국의료가 살고, 흩어지면 한국의료를 잃어버린다"며 회원을 향해 대정부 투쟁에 함께해 줄 것을 촉구했다.
황규석 회장 "정부, 국민과 의사 관계 무너뜨려"
의대생 학부모 "학생들 돌아올 수 있도록 목소리 들어달라"
연대사는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이 지역의사회를 대표해 발언대에 섰다.
황 회장은 국민 생명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는 정부가 책임은 뒤로하고, 국민과 의사와의 관계를 무너뜨리기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회장은 "아플 때 빨리 치료받고 싶어 하는 것은 국민의 당연한 권리이고, 그런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 정부에 있다"며 "그런 정부가 대한민국 의료를 완전히 망가뜨리고, 환자와 가족들의 간절한 소망을 빼앗아 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리고 돈만 아는 의사들 때문이라는 프레임으로 의사를 악마화함으로써, 의사와 환자의 신뢰 관계를 무너뜨리며 정부 자신들의 잘못을 감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런가 하면, 현재 의대생과 고3 학생을 둔 학부모도 단상에 올라 학생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의대생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대생 학부모는 "제대로 된 학습권을 보장받고 실력 있는 의사가 되고자 하는 것이 욕심이냐"며 "질 높은 의학 교육을 바탕으로 사회에 헌신하는 의사가 되겠다던 아이들의 노력이 한순간의 물거품이 됐다"고 토로했다.
이어 "더 이상 학생들의 꿈을 짓밟지 말고, 하루빨리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임현택 회장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이날 폐회사에서 임현택 회장은 무기한 집단 휴진이 진행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대회사에서 회원의 참여를 독려한 이유가 이 때문으로 보인다.
임 회장은 "이제 우리는 국민건강을 나락에 떨어뜨리려는 자들을 심판해야 한다"며 "진정한 의료정상화와 전문가주의의 선진의료를 이루어 내기 위해 의협이 투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의대증원과 의료농단 패키지 강요, 전공의와 의대생에 대한 부당한 탄압을 즉각 멈춰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날 행사는 임 회장의 폐회사에 이은 가두행진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 여의도에 집결한 의사들 ... 붕괴된 의료 살리겠다 한목소리
- 정부, 진료 거부 의료인 전원 고발 조치…“법대로 대응”
- 윤석열 대통령 “의료계 불법 휴진, 엄정 대처할 것”
- 개원가 오늘 오후 집단휴진 ... 의협 집행부는 총궐기대회 참여율에 촉각
- 의협 "단체 행동, 정부 폭정 막을 유일한 방안"
- 국회 복지위, 환자단체와 만남…의료인 파업방지법 추진 의지
- 의료기관 집단 휴진율 14.9%…정부, 업무개시명령 발령
- 파국을 향해 달리는 의·정 갈등...끝을 보려하나?
- 27일 집단휴진 논의되지 않았는데?... 총궐기대회 하루 만에 내부 파열음
- 올특위 "내년도 의대증원 포함하면 의정협의 참여할 것"
- 휴진 동력 잃고 고민에 빠진 의료계…29일 의협 결정은
- 취임 3개월 차 임현택 회장과 집행부, 소통 부재 지적 이어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