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3 공개
국내 고혈압 인구, 20세 이상 28%·30세 이상 33%…총 1230만명 추정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유병자, 혈압 분포 변화 첫 확인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고혈압 조절률은 과거보다 향상됐지만 여전히 항고혈압제를 적절하게 복용하지 않아 혈압이 높은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환자가 400만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고혈압학회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담은 '고혈압 팩트시트 2023(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23)'을 3~4일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HYPERTENSION SEOUL 2023)에서 공개했다.

이번 팩트시트는 학회 고혈압역학연구회(회장 김현창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가 1998~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및 2002~2021년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혈압 및 고혈압 규모, 고혈압 관리 수준, 특수집단의 고혈압 현황 등으로 구성됐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28%, 30세 이상 성인 33%가 고혈압에 해당돼 약 1230만명이 고혈압 인구로 추정됐다. 이 중 고혈압 치료를 받는 사람은 1050만명, 치료를 꾸준히 받는 사람은 780만명이었다.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3' 발췌.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3' 발췌.

고혈압 유병자 중 인지율은 74.1%, 치료율은 70.3%, 조절률은 56.0%로 나타났다. 고혈압 조절률은 과거보다 많이 향상됐다는 게 학회 설명이다.

학회 임상현 이사장(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은 "1998년에는 고위험 고혈압 환자 중 2.4%만 수축기혈압 130mmHg 미만, 이완기혈압 80mmHg 미만으로 혈압이 조절됐다"며 "그러나 2019~2021년인 최근에는 그 수치가 28.6%로 많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고혈압 치료자 중 60%가 이제 이상 병합요법으로 치료받고 있었다. 전체 고혈압 치료자의 75%가 안지오텐신차단제, 62%가 칼슘통로차단제, 23%가 이뇨제, 15%가 베타차단제를 처방받고 있었다.

동반질환에 따라서는, 고혈압 치료자 중 67%가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에 대해 동반치료를 받고 있었다. 고혈압 단독치료보다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 동반 치료자에서 2제 이상 병합요법 분율이 더 높았다.

특수집단에 따라 보면, 65세 및 80세 이상 고령자 혈압 조절은 2015년까지 개선되다 이후 추세가 둔화됐다. 동반질환에 따라서는 당뇨병 및 비만 유병자의 혈압 조절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었다. 그러나 만성콩팥병 유병자의 혈압 조절은 2015년까지 개선됐으나 이후 다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3' 발췌.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3' 발췌.

이번 팩트시트에서는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고위험 고혈압 유병자들의 혈압 분포 변화를 처음으로 파악했다.

그 결과,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고혈압 유병자 혈압조절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럼에도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고혈압 환자의 치료율을 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회 김현창 회장은 "아직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고혈압 환자 중 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이 47.6%나 된다"며 "이는 적극적 혈압조절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항고혈압제를 아예 복용하지 않거나 충분히 사용하지 않아 혈압이 높은 사람이 400만명 이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