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연구 책임자, 고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
ENSEMBLE, 비HDL-C 조절 목표로 실시하는 첫 대규모 랜드마크 연구

▲ENSEMBLE 공동 연구 책임자(PI)인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내분비내과).
▲ENSEMBLE 공동 연구 책임자(PI)인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내분비내과).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피브레이트 계열 약제는 중성지방을 줄이고 HDL-콜레스테롤을 높이지만, 대규모 연구에서 실패한 약으로 평가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다.

페노피브레이트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FIELD와 ACCORD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지 못했다. 또 다른 피브레이트 계열 약제인 페마피브레이트도 PROMINENT 연구에서 중성지방을 낮췄지만 심혈관 혜택 입증에 실패했다. 

그럼에도 피브레이트 계열 약제는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스타틴 병용 파트너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FIELD와 ACCORD는 중성지방 수치가 높지 않은 환자군에게 페노피브레이트를 투약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연구 디자인 한계가 있다.

PROMINENT는 페마피브레이트 치료에 따라 중성지방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약제 특성상 공격인자 총합이라 할 수 있는 아포지단백B(ApoB) 수치를 높여 치료에 따른 비HDL-콜레스테롤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심혈관 혜택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국내 연구팀이 피브레이트 계열 약제의 연구 실패를 교훈 삼아 새로운 디자인의 대규모 랜드마크 연구를 시작한다.

'ENSEMBLE'로 명명된 이 연구는 고중성지방혈증을 동반한 비HDL-콜레스테롤 목표 미달성 2형 당뇨병(이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 복합제 효능을 평가한다.

ENSEMBLE 공동 연구 책임자(PI)인 고대 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내분비내과)를 만나 연구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물었다. 

■ 고중성지방혈증 동반 당뇨병 환자에게 비HDL-콜레스테롤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스타틴을 복용해도 예방되지 않는 60~70%의 심혈관질환 위험, 즉 잔여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서다. 잔여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중성지방이 많이 포함된 중성지방 풍부 지단백(Triglyceride rich lipoprotein, TRL)인 VLDL, IDL 등이 있다. 이들은 LDL-콜레스테롤이 정상 수치에 도달하더라도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다. 

결국 LDL-콜레스테롤을 포함해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공격인자 총합인 비HDL-콜레스테롤 조절이 심혈관질환 예방에 중요하다. 이는 총 콜레스테롤에서 HDL-콜레스테롤을 뺀 값으로 계산할 수 있지만 더 정확하게는 ApoB로 측정할 수 있다.

결국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LDL-콜레스테롤뿐 아니라 비HDL-콜레스테롤을 낮춰야 하고 정확히는 ApoB를 줄여야 한다.

■ 비HDL-콜레스테롤을 목표로 실시하는 최초 대규모 랜드마크 연구인 ENSEMBLE의 공동 PI다. 어떤 연구인가?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 복합제인 에제페노를 기반으로 디자인된 연구다. 에제티미브는 LDL-콜레스테롤과 ApoB를 떨어뜨리고 페노피브레이트는 중성지방과 ApoB를 낮춘다. 즉,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 복합제는 LDL-콜레스테롤뿐 아니라 TRL인 VLDL과 IDL을 모두 낮춰 비HDL-콜레스테롤을 조절할 수 있다. 

ENSEMBLE은 지금까지 실패했던 FIELD, ACCORD, PROMINENT에서 교훈을 얻고 성공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설계했다. 국내 약 40개 병원이 참여하며 4000여명을 모집해 3~4년 동안 추적관찰할 계획이다.

대한내분비학회 정윤석 이사장(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대한당뇨병학회 원규장 이사장(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이 공동 PI로 참여한다. 양 학회가 처음으로 공동 지원하는 대규모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ENSEMBLE은 어떻게 디자인됐나?

아토르바스타틴 10mg을 복용하거나 이와 동등한 수준의 스타틴으로 치료받지만 비HDL-콜레스테롤이 100mg/dL 이상·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 500mg/dL 미만이며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있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들은 스타틴 용량을 높이거나 다른 치료전략을 고려해야 하는 환자다.

이에 연구에서는 환자군을 아토르바스타틴 용량을 2배 늘려 20mg을 복용하는 군과 아토르바스타틴 10mg에 더해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 복합제를 병용하는 군으로 무작위 배정해 추적관찰할 계획이다. 

1차 목표점은 주요 심혈관계 사건과 당뇨병성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설정했다. 기존 대규모 연구에서는 심혈관 안전성을 주로 확인했지만, 삶의 질 측면에서 미세혈관 합병증도 중요하다. 이에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당뇨병성 망막병증(이하 망막병증)과 당뇨병성 신증을 확인한다.

심혈관계 영향 연구(CVOT)가 비열등성 확인으로 출발해 우월성을 증명하는 과정으로 진행된 만큼, ENSEMBLE도 비열등성 입증 이후 우월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 주목해야 할 평가요인은?

망막병증 예방 효과다. 망막병증 치료는 이미 진행된 상황에서 레이저 광응고술이나 유리체절제술, 유리체강 내 약물주입술 등 방법 외엔 없다. 즉 망막병증이 심하지 않은 환자의 진행을 예방하는 약제가 없다.

그러나 페노피브레이트는 FIELD, ACCORD 연구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지 못했을지라도 망막병증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토대로 진행된 리얼월드 연구에서도 페노피브레이트가 망막병증 환자의 유리체강 내 약물주입술 시행을 줄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연구에서는 망막병증이 발생 또는 진행됐거나 망막병증으로 인한 실명, 실명을 막기 위한 수술적 치료 시행 등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 복합제의 망막병증 예방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호주에서 페노피브레이트가 망막병증 예방 적응증을 받은 만큼, 우리나라도 페노피브레이트 적응증이 망막병증 예방까지 확대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 ENSEMBLE 결과가 발표되면 임상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나?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 복합제가 당뇨병 환자의 대혈관 그리고 미세혈관 합병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증명한다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가이드라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스타틴 복용에도 불구하고 비HDL-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당뇨병 환자는 에제티미브와 페노피브레이트를 병용해야 한다는 권고안이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포함된다면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건강과 행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