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릴리, 적응증 확대 기념 기자간담회 개최
CDK4/6 억제제 활용 다양한 연구 진행 중

14일 더플라자에서 열린 한국릴리 버제니오 허가 확대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세브란스병원 손주혁 교수(종양내과)는 버제니오의 임상적 이점을 강조했다.
14일 더플라자에서 열린 한국릴리 버제니오 허가 확대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세브란스병원 손주혁 교수(종양내과)는 버제니오의 임상적 이점을 강조했다.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한국릴리의 CDK4/6 억제제 버제니오(성분명 아베마시클립)가 재발 위험이 높은 조기 유방암 환자의 완치를 위한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한국릴리는 14일 더플라자에서 '버제니오 허가 확대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앞서 한국릴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버제니오의 호르몬수용체 양성(HR+)/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음성(HER2-) 림프절 양성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보조요법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은 바 있다.

이에 따라 림프절 양성 재발 위험이 높은 조기 유방암 성인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내분비요법과 병용 가능하다.

유방암은 대부분 조기에 발견되지만, HR+/HER2- 유방암 조기 유방암 환자 가운데 약  20~30%는 절제술을 받아도 재발해 완치가 불가능한 전이성 유방암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은 첫 해에 재발의 위험이 높고 5년 이내에 재발하며, 5년 이후에도 재발의 위험이 있다. 

특히 림프절 양성인 경우, 종양 등급이 높은 경우,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 세포 증식 속도가 빠른 경우 재발의 위험이 높다.

버제니오는 임상3상 mornachE 연구를 통해 CDK4/6 억제제 중 처음으로 조기 유방암에서의 효능을 입증했다.

지난해 10월 유럽종양학회 가상 기조강연(ESMO Virtual Plenary)에서는 이 연구의 3년차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대조군 대비 버제니오 투약군의 침습적 무질병생존율(IDFS)과 원격무재발생존율(DRFS) 이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전체 환자(코호트1 및 코호트2)군 IDFS는 버제니오 투약기간이 마무리된 2년 시점에 버제니오 병용군이 92.7%, 내분비요법 단독군은 90.0%로 집계됐다.

이 같은 차이는 3년 시점까지 이어졌고 버제니오 투약군의 IDFS는 88.8%, 내분비요법 단독군은 83.4%로 집계됐다.

버제니오군과 내분비요법 단독군 각각 약 2800명의 환자 중 3년 시점에서 침습적 질병 관련 사건은 버제니오군에서 총 232건, 내분비 단독요법군은 333건이 발생, 버제니오군의 침습적 질병 또는 사망의 위험이 30.4%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HR=0.696, P<0.0001).

DRFS는 2년 시점에 버제니오군이 94.1%, 내분비요법 단독이 91.6%, 3년 시점에는 버제니오군이 90.3%, 내분비요법 단독은 86.1%로, 역시 버제니오 투약 기간이 지난 이후에도 차이가 유지됐다. 

3년 시점에 원격 재발 관련 사건은 버제니오군이 191건, 내분비요법 단독에서는 278건으로 버제니오의 원격 재발 또는 사망의 위험이 31.3% 더 낮았다.(HR=0.687, P<0.0001)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SABCS 2022)을 통해 공개된 추가 분석(중앙 추적관찰 42개월)에서는 4년차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이 각각 85.8%와 79.4%로  벌어졌다.

4년차 IDFS는 각각 88.4%와 82.5%로, 시간이 갈수록 대조군과 버제니오 투약군 간 이득의 크기 차이가 벌어졌다.

대조군 대비 버제니오 투약군의 상대위험비(HR)는 IDFS는 0.664(95% CI 0.578-0.762), DRFS는 0.659(95% CI 0.567-0.767)로 버제니오 투약군의 침습적 질병이나 원격 재발 또는 사망의 위험이 약 33~34% 정도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신촌세브란스병원 손주혁 교수(종양내과)는 버제니오를 2년 투약하면 6명의 환자가 사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재발률을 낮추면 환자가 사망하지 않게 되는 만큼 전이 단계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보조요법을 통해 재발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손 교수는 "버제니오의 이번 적응증은 고위험 환자의 재발 위험을 막는 게 목표"라며 "암 환자의 전체생존(OS)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보조요법에서 IDFS, DRFS를 1차 목표점을 삼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릴리는 조기 환자의 보조요법에서 CDK4/6 억제제를 투약한 이후 후속 치료 옵션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